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21일 홍콩 거리 세계가 주목, 송환법 반대 시위 정국 분수령 될 듯



아시아/호주

    21일 홍콩 거리 세계가 주목, 송환법 반대 시위 정국 분수령 될 듯

    • 2019-07-20 05:00

    민간인권전선 21일 대규모 집회 예고
    홍콩 시민들 집회 참여 정도에 따라 시위 정국 지속 여부 판가름 날 듯

    지난 14일 홍콩 사틴 지역에서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안)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주요 도로를 점거한 채 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오는 주말인 21일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안)'을 반대하는 홍콩 시민들의 대규모 집회가 예고된 가운데, 이번 집회가 지난 6월부터 시작된 송환법안 시위 정국의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홍콩의 재야단체들이 연합한 민간인권전선은 이날 홍콩 도심인 코즈웨이베이에서 애드머럴티까지 송환법안에 반대하는 행진을 할 예정이다. 민간인권전선은 지난달 9일 103만 명을 시작으로 16일 200만 명의 홍콩 시민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를 성사시키는 등 일요일 마다 수백만의 홍콩 시민들을 집회로 이끌어내 송환법안 이슈를 전세계적으로 부각시키는데 성공했다.

    홍콩 경찰이 주말마다 계속된 시위를 통제하기 위해 일선 경찰들의 피로감이 극에 달했다며 시위 연기를 요청했지만 민간인권전선은 행진을 예정대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민간인권전선은 경찰의 연기 요청이 '사실상 계엄령을 발동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지난 1일 주권 반환 기념일 대규모 시위 이후 처음으로 개최되는 일요일 집회에 얼마나 많은 홍콩 시민들이 참여할지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돼 있다. 이번 집회가 향후 시위 양상을 예상할 수 있는 가늠자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홍콩 시민들의 가장 강력한 요구인 '송환법안'이 사실상 수명을 다했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집회 참여 동력이 많이 떨어질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캐리 람(林鄭月娥) 홍콩 행정 장관은 주권 반환 시위대가 입법회 건물을 점거한 2일 새벽 가진 긴급 기자회견에서 "현 의회 임기가 끝나는 2020년 7월이 되면 해당 법안(송환법안)은 소멸되거나 자연사 수순을 밟을 것"이라고 언급해 송환법안이 사문화 과정에 들어섰음을 시사했다.

    지난 1일 집회에서 일부 젊은 시위대가 건물 입구를 부수는 등 폭력을 동원해 입법회 건물을 점거한 것도 악재 중 하나다. 상당수 시위대는 입법회 점거를 비판하며 폭력 시위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어 내부 갈등 조짐마저 감지되고 있다.

    홍콩 행정부를 비롯한 중국 정부는 지난 1일 입법회 건물 점거를 집중 거론하며 폭력시위 프레임으로 민간단체들을 압박하고 있다. 홍콩 특파원공서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중국 중앙정부는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과 특별행정구 정부가 법에 따라 시정을 이행하는 것을 지지한다"며 송환법안 시위를 폭력시위로 규정했다.

    하지만 최근 홍콩 시민들의 움직임이 이전과 전혀 상반된다는 점에서 섣불리 예단해서는 안된다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지난달 15일에는 캐리 람 장관이 홍콩 시민들에게 사과하며 '송환법안' 처리를 연기하겠다고 밝혔지만 다음날 홍콩 시민 200만 명이 이에 아랑곳 하지 않고 집회에 참석해 일사분란하게 대오를 유지했다.

    지난 18일 집회 주최 측 추산 9천여 명의 노인들이 모여 오는 21일 행진 예정코스인 센트럴에서 정부 청사가 있는 애드머럴티까지 행진한 모습은 이런 전망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 이들 노인들은 '젊은이들을 지지한다. 홍콩을 지키자'라고 쓰인 플래카드를 들고 폭염으로 뜨거운 홍콩 거리에 나섰다. 플래카드 중에는 '제도적 폭력에 반대한다', '우리는 직선제를 원한다'라고 적힌 내용도 눈에 띄었다. 앞서 지난달 14일 수천 명의 홍콩 어머니들이 송환법안 반대 촛불 집회를 여는 등 젊은 층을 벗어나 전 홍콩인들이 시위에 참여하는 등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만약 21일 집회에서도 앞선 집회 못지 않은 홍콩 시민들이 참여한다면 송환법안 반대 시위 국면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홍콩 시위 장기화는 중국 정부에게도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중국의 전·현직 지도층이 참여해 향후 국가운영 방안을 논의하는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에서도 홍콩 문제가 큰 이슈로 다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입장이 난처해진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더욱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집권 2기를 맞아 헌법에서 3연임 제한 규정까지 제거할 정도로 시진핑 1인 체제라는 철옹성을 구축한 만큼, 홍콩 시위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중국 정부도 다급히 대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한정(韓正)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이 이끄는 홍콩·마카오공작협조 소조가 홍콩 시위와 관련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중국 지도부가 채택할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