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女가슴에 자유를 허하라? '상탈시위' 논쟁 가열



사회 일반

    女가슴에 자유를 허하라? '상탈시위' 논쟁 가열

    "사회통념상 시기상조" VS "성적 대상화가 문제"
    성대결로 치닫는 온라인 논쟁, 언론도 성대립 프레임 씌워
    "핵심은 여성의 신체, 성적으로 해석하지 마라"

     

    여성단체 '불꽃페미액션' 회원들이 벌인 상의탈의 시위를 놓고 온라인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이 단체 회원 10명은 지난 2일 서울 강남구 페이스북코리아 사옥 앞에서 "우리는 음란물이 아니다"라고 외치며 상의탈의 퍼포먼스를 펼쳤다.

    자신들의 상의탈의 사진을 음란물로 규정해 삭제한 페이스북에 항의하기 위해서였다. 앞서 불꽃페미액션은 지난달 26일 '월경페스티벌'에서 상의를 탈의하고 찍은 사진을 지난 29일 페이스북에 올렸다.

    하지만 페이스북은 해당 사진이 "나체 이미지 또는 성적 행위에 관한 규정을 위반했다"며 삭제했고 1개월 계정정지 처분을 내렸다.

    이 단체는 지난 2일 시위에서 "남성의 나체 사진은 그대로 두면서 여성의 나체 사진은 삭제하는 페이스북의 규정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시위 이후 페이스북 코리아는 "당사의 오류로 사진을 삭제했다. 불편을 끼쳐 사과한다"며 사진을 복원하고, 계정에 적용했던 차단 조치를 해제했다.

    이번 상의탈의 퍼포먼스를 두고 다양한 시선이 엇갈린다.

    일부는 "한국사회 통념상 여성의 가슴 노출은 시기상조다", "남녀의 가슴은 모양과 기능부터 다르다.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우선이다", "여성의 가슴은 모성과 풍요의 상징이다. 보호받아야 할 신체 부위이며 스스로 소중히 여겨야 한다" 등의 의견을 냈다.

    반면 "왜 남성 상의탈의는 허용하면서 여성 상의탈의는 금지하나", "여성 가슴의 상시 음란화는 역사적 남녀차별과 성 노리개 시각이 만들어낸 산물이다", "여성의 가슴은 야하거나 가려야 할 부위가 아니라 몸의 일부일 뿐이다. 여성의 가슴을 성적 대상으로만 보는 시선이 문제다"라는 반응도 있었다.

    다른 페미니즘 이슈가 그렇듯 온라인 상에서 여성 상의탈의 시위를 둘러싼 논쟁은 남녀 성대결 양상으로 치닫고 있으며, 언론 역시 성대립 프레임을 씌워 보도한다.

    손희정 문화평론가는 4일 CBS노컷뉴스와 전화통화에서 "이번 시위는 여성 가슴만 검열하는 페이스북 뿐만 아니라 지난해 아이돌 출신 배우 설리의 '노브라 논란' 보도처럼 신체 노출에 있어 성적으로 편향된 언론의 문제를 드러낸다"고 말했다.

     

    이번 시위는 여성의 가슴을 보호대상으로 여기고 상의탈의를 범죄 취급하는 여성 신체 구속의 역사 안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분석이다.

    여성 상의탈의 시위는 프랑스 68혁명으로 촉발된 남녀평등과 여성해방운동이 전 세계로 퍼지면서 격화했다. 최근에는 국제여성인권단체 ‘페멘'(FEMEN)이 벗은 몸을 통해 여성 불평등에 맞서 싸우는 것으로 유명하다.

    여성들의 끈질긴 저항 덕분에 사회적으로 터부시되는 것이 조금씩 용인되고 있다. 2016년 한 해외 여성 아티스트는 생리혈이 묻은 옷을 입고 자는 장면을 작품으로 만들어 인스타그램에 올렸다가 음란물 판정을 받았지만 당사의 사과를 받고 사진을 복원하기도 했다.

    손희정 문화평론가는 "가부장적인 우리 사회는 여성의 가슴에 과도하게 의미를 부여한다"며 "'여성을 무조건 신체 부위로 환원해서 모든 부위를 성적으로 해석하지 마라. 기슴은 가슴일 뿐'이라는 게 이번 시위의 메시지"라고 말했다.

    한편 경찰은 "2일 열린 시위에 대해 공연음란죄와 경범죄처벌법 모두 해당하지 않는다. 최종 범리 검토가 남아있지만, 처벌하지 않는 쪽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