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위안화 기축통화 합류...美中 통화 패권 경쟁 본격화



미국/중남미

    위안화 기축통화 합류...美中 통화 패권 경쟁 본격화

    • 2015-12-01 04:31

     

    중국 위안화가 마침내 기축통화 반열에 올랐다. 중국의 '금융굴기'가 속도를 내면서 미국과 중국의 통화 패권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30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본부에서 집행이사회를 열고 위안화의 특별인출권(SDR) 기반통화(바스켓) 편입을 결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에따라 위안화는 미국 달러화와 유로, 영국 파운드, 일본 엔화에 이어 5번째로 IMF의 SDR 통화 역할을 하게 됐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는 집행이사회를 마친뒤 "위안화의 SDR 편입은 중국의 세계경제로의 통합을 위한 중대한 이정표"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또 "위안화 편입은 세계 경제의 여건을 더 잘 반영하기 위한 일"이라고 말했다.

    위안화의 SDR 편입 비율은 10.92%로 결정됐다. 이는 미국 달러(41.73%)와 유로화(30.93%)에 이어 세번째로 비중이 높은 것으로 세계 3대 주요 통화로서 발돋움하게 됐다.

    IMF는 성명에서 "편입 통화의 수를 16개에서 5개로 줄인 1980년의 결정 이후 처음으로 이뤄진 SDR 통화군에 대한 큰 변화"라고 했다. 특히 IMF는 위안화가 "자유롭게 사용되는 통화"라고 판단했다.

    중국은 지난 2010년 위안화를 SDR 편입을 추진했지만 '자유로운 사용' 문제로 좌절한 바 있다. 이후 중국은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위안화의 국제결제 경로를 확대하는 등 국제 금융시장에서 위안화의 지위를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지난 8월 위안화 환율의 고시환율 결정 방식을 개선하고 합리적인 위안화 환율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위안화의 SDR 편입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그 결과 지난 13일 라가르드 총재는 위안화 편입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위안화가 SDR에 편입되는 시점은 내년 10월 1일이다. 위안화의 SDR 편입은 중국이 달러 중심의 국제 경제 질서에 도전장을 내민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출범을 계기로 경제대국 G2로서의 지위 확보에 가속도를 더해왔다.

    여기에 위안화가 SDR에 편입됨에 따라 통화 패권을 향한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뜨거워질 전망이다.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위안화의 부상에도 불구하고 당장은 달러중심의 통화 체제가 크게 위협받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중국 자본시장과 외환시장이 여전히 자유롭지 못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와 관련해 앞으로 중국이 위안화 관리 방식을 바꾸라는 압박에 직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경제력에 비해 제대로 대우받지 못했던 위안화의 지위가 급상승하면서 달러화 중심의 세계 경제의 판도가 바뀔 수 있는 신호탄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