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대학교수 성명 릴레이



사건/사고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대학교수 성명 릴레이

    고대 교수 160명 반대 성명 발표

    10일 세종시 정부종합청사 교육부 국정감사장에서 열린 교육문화관광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야당 간사 김태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신문 기사를 읽으며 국감을 준비하고 있다.(자료사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전국 대학가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 2일 서울대 교수들의 선언을 시작으로, 전날 부산대와 덕성여대 교수들의 선언에 이어 고려대 교수들도 ‘국정화 반대’ 목소리에 동참했다.

    고려대 한문학과 김언종 교수와 한국사학과 정태헌 교수 등은 16일 '대한민국의 오늘과 미래를 위해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에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 성명서에는 역사학과 교수 20여명을 비롯한 인문사회계열 교수 160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민주주의와 헌법 가치의 파괴, 국격 하락과 국론 분열을 야기하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또 "근대 교과서 발행 제도는 유신 정권 하에서 국정으로 바뀌었다가 근래에 와서 비로소 검정제를 회복했다”며 “오늘날 세계적으로 교과서 발행은 검인정제에서 자유발행제로 넘어가는 과정에 있는데, 국정화는 이런 세계적 추세를 거스르는 것일 뿐 아니라 독재로의 회귀를 상징하는 반민주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교수들은 “국정 역사 교과서는 북한 등 극소수 특수 국가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과거사 청산 문제로 대립하고 있는 일본도 역사 교과서는 검정으로 발행한다”며 “민주적 합의에 의한 당면과제를 방기한 채 추진되는 국정화는 정치적 갈등과 사회적 분열만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찬성한다는 일각의 주장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새로운 한국을 위한 국민운동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화 도입을 촉구했다.

    박찬우 사무총장은 "기존의 역사교과서는 대한민국 건국 대통령을 폄훼하고, 산업화 성공한 박정희 대통령을 폄훼하고 있기 때문에 올바른 국가관을 심어주기 위해 국가가 직접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둘러싼 찬반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교육부는 이달 말까지
    이에 대한 결론을 내린다는 계획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