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하반기 전자·기계·건설 '햇살 반짝'



기업/산업

    하반기 전자·기계·건설 '햇살 반짝'

    대한상의 산업기상도 조사…자동차·조선 '흐림'

     

    하반기 전자·기계·건설업종은 불황의 터널을 벗어나지만 자동차, 조선, 철강, 유화·정유, 섬유·의류 업종은 여전히 흐림으로 예보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10여개 업종단체와 공동으로 실시한 '2015년 하반기 산업기상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아 반도체 수출이 크게 느는 전자·IT 업종과 미국경제 호조로 훈풍이 불고 있는 기계업종에 햇볕이 들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했다.

    역시 부동산 부양정책 이후 건설수요가 늘어 지난 5월 '철근품귀'까지 빚어냈던 건설업종에도 햇볕이 드는 '구름조금'으로 예보됐다.

    상반기 실적에 비해 전자·IT분야는 '흐림'에서 '구름조금'으로 한계단 상승했고, 기계업종은 '구름조금', 자동차, 조선, 철강, 정유·유화, 섬유·의류는 '흐림'을 유지했다.

    세계적으로 사물인터넷, 웨어러블기기 등 첨단제품이 쏟아지면서 최고수준 경쟁력을 지닌 우리 나라반도체가 인기를 끌고 있어 '구름조금'으로 예보된 전자·IT업종은 하반기 수출을 주도할 전망이다.

    특히 갤럭시S6, G4 등 신형스마트폰의 해외수출도 본격화될 예정이다.

    수출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상황에도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지난 5월 27%(전년동월비)까지 상승했다.

    기계업종 역시 미국의 자동차, 항공, 에너지산업의 투자확대로 하반기 전망이 '구름조금'으로 예상됐다.

    일반기계의 중국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국수출은 1~5월 11.3%까지 증가하는 등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그동안 기계류 최대수출처였던 중국경제의 성장세 둔화, 중국 기계업체들의 약진 등은 하반기 부진요인이다.

    건설업종은 지난해부터 이어온 부동산 부양책으로 이번 하반기도 해가 뜰 전망이다.

    민간부문의 건축물 착공신고가 지난해 말부터 계속 증가추세를 유지하면서 올해 국내건설 연간수주액은 지난해에 비해 12% 증가한 120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이지만 저유가로 중동지역 공사발주 축소가 지속돼 연간 해외건설 수주액은 지난해보다 25%감소된 500억달러선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 자동차 '엔저', 조선 '그리스 위기', 철강 '중국 저가공세'로 한숨

    엔저로 일본차 업체와 힘겨운 경쟁을 벌이고 있는 자동차는 '흐림'으로 전망됐다.

    미국시장에서 베스트셀러로 꼽히던 일본 중형세단 '캠리'는 현대차 '쏘나타'보다 고가였지만 지금은 두 차종 모두 같은 가격대(2만 2천달러~3만달러)에 팔려나가고 있다.

    노동계 총파업, 개별노사간 임금협상 난항 등으로 생산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자동차업종의 악재가 될 수 있지만 그나마 신차출시(아반떼, K5, 스포티지 등), 미국시장 공격적 마케팅 강화가 수출 전망을 기대하게 하는 요인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