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주택대출 급증세 3분기도 이어질 듯



금융/증시

    주택대출 급증세 3분기도 이어질 듯

    대기업 대출 수요는 감소

    국내은행의 대출수요지수 추이 및 전망

     

    사상 최저 수준의 저금리에 주택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올 3분기에도 가계대출이 높은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이 1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3분기 국내 은행의 가계 주택대출수요지수는 28로 조사됐다. 2분기 31보다는 둔화됐지만 가계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했던 1분기(28)와 여전히 같은 수준이다.

    이 지수는 한국은행이 16개 국내은행 여신업무 총괄담당 책임자를 상대로 지난달 3일부터 12일까지 전자설문한 결과로, -100~100 사이에 분포하며 0을 기준으로 지수가 높을수록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자가 많다는 뜻이다.

    지난 2013년 1분기 0으로 떨어졌던 지수는 2분기(25) 이후 20대 초중반으로 높아졌고, 지난해 3분기(34)부터는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은은 대출금리 하락과 주택경기 개선 및 거래활성화 등으로 주택구입 자금을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고 설명했다.

     

    가계의 일반자금대출도 저금리 기조와 금융기관의 적극적인 대출 취급으로 증가세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3분기 가계의 일반대출수요지수는 13으로 2분기(9)보다 4포인트 높아졌다. 지난해 1분기(9) 이후 5분기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가계 대출 수요의 증가 원인은 주택구입과 전세금 마련이 압도적이었고, 대출금리 하락도 비교적 많았다.

    3분기 중소기업의 대출수요지수는 31로 2분기(28)보다 3포인트 높아졌다.

    대출금리 하락과 업황부진 업종의 유동성확보 필요성이 주된 요인이다. 개인사업자의 경우 주택경기 개선 및 거래 활성화에 따라 부동산 및 임대업을 중심으로 대출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대기업은 저금리로 회사채 발행 여건이 좋아지고, 투자수요도 증가하면서 2분기 6에서 3으로 떨어졌다.

    가계와 기업을 포함한 국내은행의 전체 대출수요지수는 26으로 지난해 1분기(26) 이후 6분기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3분기 신용위험은 가계(16)와 중소기업(19)이 전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하며 낮은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