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전임자의 길이 내길" 옐런 '버냉키 계승'에 방점



미국/중남미

    "전임자의 길이 내길" 옐런 '버냉키 계승'에 방점

    • 2014-02-12 00:48

    경기·고용 진단, 작년 12월 FOMC 성명 내용과 흡사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이 11일(현지시간) 첫 공식 행사에서 내보인 경기·고용 상황 진단과 향후 통화 정책 방향은 벤 버냉키 전 의장이 보여준 것과 일치한다.

    시장 전문가들이 대체로 예상한 대로다.

    미국의 일자리 창출 건수가 두 달 연속 지지부진한데다 신흥국 금융시장이 요동을 치고 있다는 점에서 옐런 의장이 이날 양적완화(QE) 출구전략의 속도 조절을 시사할 것이라는 관측도 일부 나왔으나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준이 자국 고용·경기 상황에 근거해 돈줄을 계속 죄겠다는 의지를 시사한 것이다.

    옐런 의장이 취임한 지 열흘도 안 된데다 그 또한 연준 이사회 부의장으로서 버냉키 전 의장과 함께 각종 현행 통화정책을 입안·시행해왔다는 점에서 큰 정책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이날 하원 청문회 증언에 앞서 배포한 사전 답변서에서도 이 부분이 유독 강조됐다.

    그는 "전임자(버냉키 전 의장)의 정책을 지속할 것"이라며 "경제가 경기 부양책을 후퇴시킬 만큼 충분히 강해지고 있고 성장을 더 견인하기 위해 금리를 낮게 유지해야 한다는 그의 관점에 동의한다. 나 또한 현행 통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관여해왔고 이를 강력하게 지지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경제 상황이 개선세를 지속할 경우'라는 단서를 달기는 했지만, 채권을 사들이는 규모를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이른바 테이퍼링(tapering·자산 매입 축소) 조치를 계속 밟아 나가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옐런 의장이 이날 답변서에서 보여준 경기·고용 전망 등에 대한 인식도 연준이 지난해 12월과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잇따라 양적완화 규모를 100억달러 축소하기로 결정하고 나서 발표한 성명서 내용과 거의 유사하다.

    최근 발표된 여러 경기·고용 지표가 들쭉날쭉하면서 미국의 정확한 경제 진단에 대한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지만, 미국 경제가 점진적인 성장·개선 추세에 있다는 연준의 분석을 반영하는 것이다.

    연준은 지난달 FOMC 회의에서 미국의 최근 경기를 그동안 표현했던 것과 달리 좀 더 단정적이고 긍정적으로 진단한 바 있다.

    '완만하게 또는 점진적으로 확장하고 있다'(expanding at a moderate or modest pace)는 언급이 '호전되고 있다'(picked up)는 것으로 바뀐 것이다.

    또 연준 결정의 기초 자료 가운데 하나인 실업률은 지난해 12월 6.7%로 전월 대비 0.3%포인트나 떨어진 데 이어 지난달 6.6%로 추가 하락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취임 이후 최저치이자 연준이 제로(0%)에 가까운 0∼0.25%의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는 기준으로 삼은 6.5%에 근접하는 수치다.

    새 일자리는 지난해 12월 7만4천개, 지난달 11만3천개 늘어나 2개월 연속 연준 기대치(20만개)를 밑돌면서 시장에 실망감을 주기는 했지만, 계절적 현상으로 전반적인 노동시장 개선 추세는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게다가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등 거시 지표도 괜찮다.

    미국의 3분기 GDP 성장률은 4.1%로, 애초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잠정치(2.8%)보다 대폭 상향 수정됐고 4분기 성장률 잠정치도 3.2%로 기대 이상의 수치를 보였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이런 경기 호조세를 반영해 이달 중순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종전 예상치(2.6%)보다 0.2%포인트 올렸다.

    일각에서는 각종 물가상승률이 연준 목표치(2%) 이내에서 안정돼 인플레이션 부담이 없고 국가 부채 한도 증액 등을 둘러싼 워싱턴DC의 정치권발 불확실성이 잔존하는 데다 양적완화 축소 조치가 신흥국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하려는 의도에서 옐런 의장이 출구전략을 한 템포 조절하는 발언을 시사할 것이라는 전망도 했었다.

    그러나 미국 정치권이 연방정부 예산 등과는 달리 디폴트(채무불이행), 즉 국가부도 사태를 가져올 수도 있는 국가 부채 한도를 놓고는 큰 싸움을 벌이지 않을 것으로 관측한 것으로 보인다.

    또 경기·고용과 물가 등 '미국 경제'가 양적완화 규모 축소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이지 해외 변수는 큰 고려 대상이 아님을 연준과 옐런 의장이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옐런 의장은 답변서에서 "연준이 글로벌 금융 시장의 변동성을 예의주시하고 있지만 신흥국 위기 등이 미국의 경제 전망에 심각한 위험을 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시장은 따라서 옐런 의장이 처음 의사봉을 잡는 3월 18∼19일 FOMC 회의를 비롯해 상반기 3차례 회의에서도 액수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양적완화 규모를 점차 줄여 올해 안에 이 정책을 종료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다만 고용 상황의 완전한 회복은 멀었고 아직 할 일이 많다면서 시장을 면밀하게 관찰하겠다고 밝혀 '급격한 사정 변경이 생기면' 현행 정책을 수정할 수 있다는 여지는 남겨뒀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