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일본·인도 안보협력 강화는 '중국 견제' 포석(종합)



아시아/호주

    일본·인도 안보협력 강화는 '중국 견제' 포석(종합)

    • 2014-01-26 22:02

    외신 "日, 중국 관계 나빠지자 인도와 밀착 행보"

     

    중국과 영토분쟁 등으로 갈등이 깊어진 일본이 아시아 제2의 대국인 인도와 안보협력을 강화하면서 '중국 견제'에 나섰다.

    CNN 등 외신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만모한 싱 인도 총리의 정상회담 합의사항중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안보 협력 강화라면서 26일 이같이 분석했다.

    인도는 이번 회담에서 일본제 수륙양용기인 '신메이와(新明和) US-2' 구매 및 공동생산을 검토키로 하고 올해 인도·미국의 '말라바' 해상 군사훈련에도 일본 자위대를 초대키로 했다.

    인도와 일본은 또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국장 간 정례 협의채널을 신설키로 했고 중국의 일방적 방공식별구역 설정에 대해 '비행자유와 민간항공 안전이 중요하다'며 한목소리를 냈다.

    이런 합의 내용은 중국에 큰 압박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US-2 수륙양용기는 기본적으로 비무장 구조기지만 마음만 먹으면 군용으로도 쓸 수 있다. 인도 수출이 성사된다면 일본으로는 근 40년 만에 군사용 장비를 외국에 공급하는 첫 사례가 된다.

    인도 유력지인 타임스오브인디아(TOI)는 "US-2 수출은 인도의 해상 항공 기동력을 강화해 중국의 노여움을 살 수 있다"고 내다봤다.

    회담에서 거론된 말라바 해상훈련도 중국에는 불편한 행사다. 중국과 가까운 벵골 만에서 미국, 인도, 싱가포르 등의 해군이 대거 출동하기 때문에 마음이 편할 수 없다.

    일본은 2007년부터 여러 차례 이 훈련에 참여했다. 2007년에 중국은 미국, 일본 등 훈련 참여국에 '중국을 표적으로 삼으려는 것 아니냐'며 공식 항의하기도 했다.

    CNN은 아베 총리가 26일 인도 '리퍼블릭 데이'(헌법 발효 기념일) 행사에 일본 총리 최초로 참석하는 등 양국이 회담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는데 공을 들이고 있다면서 이는 결국 일본·인도가 중국에 맞서 '밀착' 관계를 강화하려는 현실을 방증한다고 분석했다.

    실제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 분쟁과 작년 말 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로 중국과 최악의 불화를 겪는 일본 아베 정권에 인도는 적격의 안보 파트너다.

    우선 인도는 수십 년 동안 중국과 크고 작은 국경 분쟁을 벌여 정치적으로 반중 성향이 강하다.

    일본과 인도는 모두 미국의 핵심 우방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인도는 인구 12억으로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중국에 맞먹는 대국인데다 핵무기와 '아그니5' 등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보유하고 있다.

    인도 매체인 라이브 민트는 중국이 이번 정상 회담을 우려 속에 주시하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실제 웨이웨이 주인도 중국대사는 회담이 열리기 전인 이번 달 초 현지 유력 일간지에 실은 기고문에서 아베 정권의 우경화 노선을 비판하며 '인도와 중국은 2차 대전 때 일본 군국주의에 함께 맞서 싸운 사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일본과 인도간 경제협력도 강화되고 있다. 아베 총리는 이번 인도 방문에서 중국 견제에 인도를 끌어들이는 '대가'로 뉴델리 지하철 정비 등을 위해 2천89억 엔(2조1천700억원)의 차관을 제공키로 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