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MB표' 입학사정관제 전형 없애고 '학생부 비교과'로 궤도수정



교육

    'MB표' 입학사정관제 전형 없애고 '학생부 비교과'로 궤도수정

    (자료사진)

     

    5년 전 이명박정부에서 본격 도입됐던 입학사정관 전형 명칭은 박근혜정부 들어 사라진다.

    교육부는 앞으로 공식문서나 입시요강에 입학사정관 같은 고유명사를 쓰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전형 명에도 각 대학의 입학사정관제를 대표하는 다빈치 전형과 네오 르네상스 전형 등도 쓰지 않기로 했다.

    입학사정관제 전형이 없어지면서 교육부가 내놓은 학생부(교과+비교과) 전형방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교육부는 그러나 대학들이 리더십, 봉사활동, 동아리활동 등 비교과 부분을 어느 정도 비중을 두고 반영할지, 방향 제시는 하지 않고 있다.

    앞으로 고교 학생부 비교과에 대한 평가는 과거 입학사정관 전형의 특성화된 평가기준에서 일반화된 평가기준으로 바뀔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이투스 청솔 오종운 평가이사는 "대학의 학생선발 자율권이 약화되고 잠재력과 건학이념 등을 평가해 다양하게 선발하는 방식이 제약을 받게됐다"고 평가했다.

    이명박정부 당시 수시는 입학사정관제, 학생부, 면접, 논술, 실기 등으로 전형을 구분해 학생을 선발했다.

    정시는 수능, 학생부, 입학사정관, 면접, 실기 등으로 전형을 나눠 학생을 뽑았다.

    앞서 박근혜정부는 수시는 학생부, 논술, 실기 위주로 정시는 수능, 실기 위주로 선발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 입학사정관제 폐해 적지 않아

    이명박정부 당시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이른바 비교과가 강조되면서 여러 부작용을 낳았던 것이 사실이다.

    학교 성적이 조금 떨어져도 개인 특성과 장점을 잘 드러내면 대학진학이 가능하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입학사정관제 사교육 시장이 급속히 팽창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