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용병 등록비 논란, 관건은 '협회-구단 교감'



농구

    용병 등록비 논란, 관건은 '협회-구단 교감'

    대한배구협회, 외국인 선수 등록비 필요성 강조

     

    대한배구협회가 최근 불거진 프로배구 외국인 선수 등록비 논란과 관련한 입장을 밝혔다. 유소년 배구 육성과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다.

    협회는 7일 보도자료를 내고 "국제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남녀 대표팀이 경기력 향상이라는 과제가 있지만 최근 국제대회 성적이 후퇴하고 있다"면서 "뿌리라 할 수 있는 초·중·고교 팀이 줄어들고 있어 이를 육성하기 위한 것"이라며 등록비에 대한 배경을 설명했다.

    협회에 따르면 지난 2005년에 비해 현재 초·중·고교 팀은 183개에서 152개로, 등록 선수는 2141명에서 1732으로 줄었다. 특히 초, 중학교 팀이 각각 86개에서 62개, 52개에서 46개로 줄어들었다.

    대표팀 성적 향상에 대한 지원도 포함된다. 협회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은 남녀가, 2012년 런던올림픽은 남자 대표팀이 출전하지 못했고, 아시아에서도 처지고 있다"면서 "물리 치료 및 전력 분석 시스템 강화 등을 포함, 더 나은 환경을 대표팀에 제공해 경기력 제고를 도모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등록비의 근거에 대해서는 국제배구연맹(FIVB) 규정에 의거, 국제이적동의서(ITC) 발급 동의를 통한 국내대회 출전 자격을 부여한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이탈리아 등도 국내외 선수등록비를 받아 협회 사업을 수행하는 등 각 나라 현실에 맞게 국내 ITC 발급이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충분한 설명 없이 추진, 구체적 계획이 먼저"

    문제는 한국배구연맹(KOVO)과 각 구단들과 교감이다. 협회는 지난 3월 KOVO 이사회에서 이종경 협회 전무가 구단 단장외국인 선수 등록비에 대해 사전 양해를 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KOVO는 아직 의견 조율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신원호 KOVO 사무총장은 "이종경 전무가 단장들에게 언급한 것은 맞지만 아직 완전히 받아들여졌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특히 각 구단들은 지난 7월 말 협회가 보낸 외국인 선수 등록비와 관련한 공문이 다소 일방적이라는 의견이다. 협회는 벌써 이사회 의결까지 했다지만 각 구단과 KOVO는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신총장은 "KOVO로서는 각 구단들의 협조를 구해야 하는 입장인데 협회가 먼저 공문을 보내 난감하다"고 털어놨다.

    물론 KOVO도 유소년 배구 활성화와 대표팀 지원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공감은 하고 있다. 그러나 남녀 각 구단이 3000만 원씩, 4억 원 가까운 적잖은 금액이 어떻게 쓰일지 투명하고도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없다는 데 주저하고 있는 상황이다.

    협회는 이번 등록비에 대해 "아마추어와 프로배구의 동반 성장을 위해 각 구단들의 협조와 동참을 구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취지가 절실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KOVO와 각 구단들을 설득하려는 노력이 더 필요해 보인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