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낙동강협의회, 뉴욕 허드슨강 벤치마킹…"낙동강 디자인 방향 모색"



경남

    낙동강협의회, 뉴욕 허드슨강 벤치마킹…"낙동강 디자인 방향 모색"

    "환경 대응, 자발적인 기부, 시민 참여를 낙동강 디자인의 새로운 이정표로 만들어 갈 것"

    양산시청 제공양산시청 제공
    낙동강 하구권역 6개 지방자치단체로 구성된 낙동강협의회가 낙동강 디자인 방향의 중심 키워드로 '환경, 기부, 참여'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낙동강협의회는 지난 4월 27일부터 5월 3일까지 미국 뉴욕 허드슨강 일원을 둘러보면 낙동강 발전의 해법을 모색했다. 낙동강협의회는 경남 양산시와 김해시, 부산 북·사상·강서·사하구 등 6개 지자체가 낙동강 중심의 문화관광 자원화 사업의 공동 추진을 위해 양산시의 제안으로 2022년 10월 협의체로 출범해 지난해 12월 지방자치법에 따른 행정협의회로 전환 운영되고 있다.

    협의회는 이번 벤치마킹에서 뉴욕시 도시계획국과 비상관리국을 방문해 뉴욕의 도시재생사업과 기후변화에 따른 수변계획의 변화 및 레디 뉴욕 등에 대한 심도깊은 대화를 통해 낙동강에서의 접목 가능성을 찾는데 집중했다.
     
    양산시의 경우 수변과 도심을 연결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해 루즈벨트 아일랜드 트램웨이와 서클라인 크루즈에 주목했다. 루즈벨트 아일랜드 트램웨이는 맨해튼과 루즈벨트 아일랜드를 왕복 운행하는 960m 길이의 북미 최초 통근용 케이블카로 1976년 운행을 시작했으며 교통용은 물론 관광용으로도 인기가 높다. 서클라인 크루즈는 뉴욕을 상징하는 자유의여신상을 감상할 수 있는 관광 유람선이다. 특히 양산시는 황산공원 등 낙동강 생태공원에 방문객이 증가함에 따라 KTX역과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대안으로 교통과 관광 2마리 토끼를 잡은 루즈벨트 아일랜드 트램웨이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김해시는 항공소음 피해지역인 불암동의 도시재생을 위해 폐철도의 공원화라는 역발상의 대표 도시재생 사업지인 뉴욕의 하이라인과 허왕후 기념공원 조성 사업을 위해 센트럴파크에 집중했다. 특히 뉴욕의 센트럴파크를 방문한 홍태용 김해시장은 처음 센트럴파크를 설계한 프레드릭 옴스테드의 '도심에서 자연으로 최단 시간 탈출'이라는 철학을 몸소 느끼며 내년 상반기 준공 예정으로 김해시 불암동 낙동강 수변에 조성되는 '허왕후 기념공원'도 도심과 가까운 곳에서 잠깐의 휴식과 여유를 즐길 수 있는 공원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센트럴파크의 하나하나를 세심하게 살폈다.
     
    양산시청 제공양산시청 제공
    부산 북구는 낙동강과 화명생태공원의 미래지향적이고 매력적인 개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뉴욕의 리틀 아일랜드 등 수변공원 시설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사상구는 삼락생태공원의 국가정원 조성사업의 아이디어 접목을 위해 리틀 아일랜드에 주목했다. 강서구는 낙동강 하구에 위치하는 지리적 유사점에 주목하며, 에코델타시티와 명지국제신도시, 연구개발특구 및 공동주택지역 등 신도시 개발 방향에 있어 뉴욕시에 종합적인 관심을 나타냈다. 사하구는 맨해튼의 화려한 야경과 역사 그리고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세계적인 문화관광의 탑픽이 된 브로드웨이를 주목했다.

    낙동강협회의장인 나동연 양산시장은 "이번 방문의 가장 큰 성과는 환경, 기부, 참여가 전제되어야 지속 가능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뜻깊은 자리였다"며 "환경 대응, 자발적인 기부, 시민들의 참여를 낙동강 디자인의 새로운 이정표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