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공천자 평균 58세…'내사람 꽂기'에 청년정치 씨 마른다



국회/정당

    공천자 평균 58세…'내사람 꽂기'에 청년정치 씨 마른다

    공천 후보자 평균연령, 여야 모두 늘어…2030은 與 7명, 野 5명
    국민추천제, 청년전략지구 제시했지만 '깜깜이' '계파' 논란
    "'자기 사람'을 꽂거나 지키는 데 몰두한 여야 주류의 청년 홀대"

    황진환 기자황진환 기자
    여야의 4‧10 총선 공천 작업이 마무리 수순을 밟고 있는 가운데 2030 청년 정치인들의 22대 국회 입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여야를 막론한 '현상 유지'와 '계파' 등 이해관계에 따른 '자기사람 챙기기 공천'으로 인해 애먼 젊은 정치 신인들이 타격을 입었다는 해석이 나온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공천 확정자들의 평균연령은 11일 기준 각각 58.5세, 56.6세로 집계됐다. 지난 21대 총선 공천 당시 국민의힘의 전신인 미래통합당(55.7세)이나 민주당(54.9세)의 수치보다 각각 2~3살가량 늘어난 것이다.
     
    이는 2030 청년 정치인들의 국회 진입난으로 이어지고 있다. 평균연령이 늘어난 배경에 저조한 청년 후보 공천이 있기 때문이다.
     
    여야는 현재까지 20‧30대 후보(일괄 출생 연도 기준 만 나이)를 각각 채 10명도 못 채우고 있다.


    국민의힘에서 공천이 확정된 30대 후보는 △김재섭(서울 도봉갑) △김준호(서울 노원을) △장예찬(부산 해운대갑) △곽관용(경기 남양주을) △박진호(경기 김포갑) △김수민(충북 청주청원) △조지연(경북 경산) 등 7명에 그쳤고 20대 후보는 아예 없다. 민주당은 20대 우서영 후보(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를 공천했지만 30대 후보는 △안귀령(서울 도봉갑) △이현(부산 진을) △이소영(경기 의왕‧과천) △김용만(경기 하남을) 등 4명에 불과하다.
     
    여야는 부족한 청년 공천을 앞으로 남아 있는 일부 지역구에서 전략적으로 장려하고, 비례대표 자리를 통해 충당하겠다는 방침이다. 민주당은 서울 서대문갑을 청년전략지구로 선정해 공개 오디션을 진행했고, 국민의힘은 국민추천제 대상 지역구 5곳(서울 강남갑·을, 대구 동·군위갑, 대구 북갑, 울산 남갑)을 선정해 청년 공천을 유도하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민주당 청년전략지구에선 친이재명계 후보인 김동아 변호사가 공천을 받으면서 계파 논란이 반복됐고, 국민의힘의 국민추천제는 '깜깜이 공천'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 공천 과정에서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를 위시한 '계파 공천' 논란이 공천 파동으로 치달았고, 국민의힘은 현역 이탈을 최소화하기 위한 '현상 유지 공천'으로 비판을 받았다. 그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청년 정치인은 소외됐다는 평가가 나오는 것이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여야 모두 공천 과정에서 이미 범(汎)친윤계인 현역 의원이나 친이재명계 인사 등 '자기 사람'을 꽂거나 지키는 데 몰두했다"며 "양 진영 주류들의 홀대로 경선에조차 도전하지 못한 청년 후보들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쇄신이란 단어는 무색하다"라고 지적했다.
     
    최근 지역구 공천을 신청했던 한 청년 정치인은 "비례대표 제도가 있다고는 하지만, 지역구를 맡아 기반을 다지는 것이 더 좋은 기회 아니겠나"라며 "청년 후보자의 숫자도 적지만, 양당 모두 청년 정치인을 전면에 내세워 적극적으로 홍보하려는 의지도 없어 보인다"라고 비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