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수도권 위기' 여전한 국민의힘…'한동훈 효과' 관건



국회/정당

    '수도권 위기' 여전한 국민의힘…'한동훈 효과' 관건

    [총선 D-100]
    과반 혹은 다수당 목표 위해 '수도권 승리' 절실
    최근 내부 평가에서 지난 21대 수도권 약세 재확인
    한동훈 비대위 체제, 변화 통해 수도권 바람 일으켜야
    연초 지지율에서 판가름…공천 정국 '잡음' 최소화 절실

    발언하는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황진환 기자발언하는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황진환 기자
    총선을 100일 앞둔 1일 국민의힘의 최대 과제는 수도권 약진이다.

    전체 의석수에서 과반 달성, 혹은 다수당이 되기 위해서 수도권에서 선전이 절실하다. 현재 의석수(112석)에서 후퇴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지난 21대 총선 때보다 서울·경기·인천 등에서 의석수를 확대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판세는 우호적이지 않은 실정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지난해 초 지지율에 비해 지난 연말 지지율이 오히려 낮아졌다. 지난 10월에는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보궐선거를 발생시킨 책임이 있는 김태우 전 구청장을 재공천했다가 호된 여론의 심판을 받았다. 최근 자체 여론조사에서는 전통적인 텃밭인 서울 강남권 외에 뚜렷한 강세 지역이 없다는 평가까지 받았다.

    국민의힘에게 필요한 것은 변화라는 것이 주된 조언이다. 여소야대 정국에서도 타협하지 않고 오히려 군림하려는 자세를 보여왔다. 비타협적인 자세는 권력 핵심부에서 나온다. 만약 향후 공천과정에서 그간의 수직적 당정관계가 그대로 관철돼 잡음이 일어난다면 중도층이 폭넓게 분포한 수도권에서 유권자의 선택을 받기 어렵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차기 대권주자인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을 영입해 당 체제에 변화를 준 만큼 가시적 성과를 내고, 연초 지지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총선 승패 달린 수도권, 보선 패배서 재확인한 위기론

     

    총선과 관련한 국민의힘의 최대 난제는 수도권으로 상징되는 중도층 포섭 문제다.
     
    지난 2020년 총선에서 서울‧인천‧경기 지역구 의석 121석 중 국민의힘은 16석을 얻는 데 그쳤다. 10석 중 1.3석꼴이다. 현행 선거제 기준 전체 지역구 의석수(253석)의 절반에 가까운 거대한 선거구에서 그야말로 '참패'했던 것이다.
     
    수도권 탈환 여부에 총선 승리 여부가 걸려 있다고 평가받는 이유다.
     
    그러나 좀처럼 뚜렷한 진전의 지표가 보이지 않는다.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해 월별 국민의힘 지지도는 서울과 인천‧경기에서 대체로 30%대의 박스권에 갇혀 있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연초인 1월 기준 서울에서 37%, 인천‧경기에서 32%였고, 연말인 지난달 기준 서울에서 35%, 인천‧경기에서 32%였다. 서울의 경우 표본 크기(조사 완료 사례 수)는 한해 기준 월평균 719명,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7%P였으며, 인천‧경기 표본 크기는 월평균 1200명에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8%P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당시 김태우 국민의힘 강서구청장 후보자가 패배를 인정하는 입장문을 발표하는 모습. 윤창원 기자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당시 김태우 국민의힘 강서구청장 후보자가 패배를 인정하는 입장문을 발표하는 모습. 윤창원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해 직접적인 시험대에서도 쓴맛을 봤다. 지난 10월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두 자릿수 격차로 패배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당 지도부가 교체됐을 정도로 여파가 컸다.
     
    당내 한 수도권 지역구 당협위원장은 "중앙에서 주요 인사의 부적절한 메시지와 행동 하나만으로도 타격받고 뒤집혀 버리는 게 지역구 현장 여론의 현실이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며 "새 지도부가 위기를 직시하고, 중도층을 사로잡을 메시지에 집중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번번이 패배 불러온 '공천 파동'…이번엔 달라질까

     
    정책과 메시지를 통해 중도층을 포섭하는 것이 장기전이라면, 절차적으로 '잡음 없는 공천'을 만드는 건 단기전이다. 지난 2차례 총선 패배에서 논란의 중심에 섰던 국회의원 후보자 공천은 번번이 보수당의 패배를 불러왔다.
     
    2016년 새누리당 체제에서 김무성 당 대표,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 사이 '진박 공천'에서 불거진 '옥새 파동'이 대표적이다. 당시 총선에서 새누리당은 122석을 얻으며 원내 다수당 자리를 내놔야 했다.
     
    4년간의 절치부심에도 실패는 더 거하게 재현됐다. 2020년 미래통합당 체제에서 황교안 대표와 김형오 공천관리위원장의 갈등은 막판 '공천 뒤집기' 사태로까지 이어졌다. 당시 총선 대패는 현재 여소야대 형국의 원인이기도 하다.
     
    당내 한 관계자는 "4년간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막판에 공천으로 인한 분쟁이나 막말 파문이 일면 말짱 도루묵이다. 시험공부 다 해놓고 답안지 마킹 잘못하는 거나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비대위 체제 확립 이후 공관위원장을 비롯한 공관위 인선에 관심이 모이고 있는 이유다.
     

    돌고 돌아 '당정관계 재확립'…"韓, 균형 잡고 목소리도 내야"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이 윤재옥 원내대표와 귀엣말을 나누는 모습. 황진환 기자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이 윤재옥 원내대표와 귀엣말을 나누는 모습. 황진환 기자
    이러한 문제들을 풀어갈 첫 번째 단추는 결국 '당정관계 재확립'이란 게 당내 인사들의 평가다.
     
    중도층 공략을 위한 방침은 당과 대통령실이 호흡을 맞춰야 하고, '누구를 어느 지역구에, 비례대표 몇 번에 넣을지' 공천 고민에도 대통령실의 입김과 당의 판단 사이 무게중심이 중요한 변수기 때문이다.
     
    신임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에게 요구되는 역할, 맡겨진 임무도 결국 이 문제를 가리키고 있다.
     
    당내 또 다른 관계자는 "새로 임명된 비대위원 중 정치권 출신이 적은 데 대해 평가는 엇갈리지만, 당 바깥의 시각에서 객관적으로 사안을 바라볼 거란 기대는 걸어볼 만하다"라면서도 "결국 한 위원장 중심의 비대위다. 그가 이전 지도부와 혁신위원회 등의 전철을 밟지 않고 당정관계에서 얼마나 잘 균형을 잡고 목소리를 낼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한편 비대위는 1일 국립현충원 참배 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신년 인사회를 갖는 등 본격적인 활동에 나선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