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소' 전염병 지나가니 이제는 '닭' 걱정…'일본에서 고병원성 AI 첫 발생'

  • 0
  • 폰트사이즈
    - +
    인쇄
  • 요약


경제정책

    '소' 전염병 지나가니 이제는 '닭' 걱정…'일본에서 고병원성 AI 첫 발생'

    핵심요약

    일본 농림수산성, 27일 사가현 산란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AI 확진 발표
    올 겨울 일본 산란계 농장 첫 발생 사례
    농식품부, "국내 아직 미발생이나 한,일이 매년 비슷한 시기 발생해 차단방역 강화"

    조류인플루엔자 방역. 연합뉴스조류인플루엔자 방역. 연합뉴스
    일본의 산란계 농장에서 올해 겨울 첫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함에 따라 우리 정부가 차단 방역 강화에 나섰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일본 농림수산성은 이날 사가현 가시마시(일본 남단)의 산란계 농장에서 올 겨울 처음으로 고병원성 AI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농장에서는 산란계 4만수가 사육중이다.

    일본에서는 지난 10월 4일 홋카이도 비바이시(북부지역)에서 폐사한 큰부리까마귀에서 처음 고병원성 AI(H5형)가 검출된 이후 현재까지 6개 도도부현 야생조류에서 25건이 검출됐다.

    가금농장의 경우 지난 24일 사가현 산란계 농장과 26일 이바라키현의 산란계 농장에서 의심 신고됐고 이날 사가현 농장에서 고병원성 AI(H5형)가 확인됐다.

    조류인플루엔자 대책 논의하는 일본 사가현. 연합뉴스조류인플루엔자 대책 논의하는 일본 사가현. 연합뉴스
    농식품부는 고병원성 AI가 해마다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동시 발생하는 경향을 보임에 따라 올 겨울철 국내에도 고병원성 AI의 유입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히 일본 농림수산성이 고병원성 AI 바이러스에 감염된 철새가 일본에 유입돼 전파됐다고 평가하고 있는데다 철새 도래 경로가 일본과 우리나라가 비슷한 것도 그 이유다.

    현재 국내에서는 가금농장은 물론 야생조류에서도 고병원성 AI는 검출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지난 9월부터 국내 야생조류 분변·포획 및 폐사체에 대해 예찰·검사를 강화해 총 6543건을 검사한 바 있다.

    일본 산란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진 판정되고 고병원성 AI에 감염된 철새가 우리나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농식품부는 가금 사육농가에 고병원성 AI 예방과 확산방지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안용덕 방역정책국장은 "농장 내부로 출입하는 차량·사람 등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축사 출입 전 손 소독 및 장화 갈아신기, 축사 내·외부 매일 청소 등 가금농장 차단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줄 것"을 농가에 강조했다.

    이어 "사육하는 닭·오리 등이 폐사·산란율 저하 등 고병원성 AI 의심 증상을 보이는 경우 즉시 방역당국에 신고해 줄 것"을 요청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