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먹거리 물가 3년연속 5%대 상승…저소득층 소득 44% 먹는데 쓴다



경제정책

    먹거리 물가 3년연속 5%대 상승…저소득층 소득 44% 먹는데 쓴다

    1~10월 식료품 비주류 물가 지수 5.1%, 10년만에 3년 연속 5%대
    저소득층일수록 식비 부담 커져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연합뉴스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연합뉴스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이 5%가 넘어가는 등 먹거리 물가 고공행진으로 서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10월(누계)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지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5.1% 상승했다.

    연간 기준으로 2019년 0.0%에서 2020년 4.4%로 치솟은 뒤 2021년 5.9%, 2022년 5.9%를 기록했다. 이대로라면 올해까지 3년 연속 5%를 넘기게 된다. 이는 2009~2011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이는 원유와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이어 가공식품의 물가가 오른 영향이다. 여기에 이상기온까지 겹치면서 과일·채소류 등의 가격이 급등했다.

    품목별로 보면 올해 1~10월 생강이 작년 같은 시기보다 97.0% 상승해 가장 많이 올랐다. 당근(33.8%)·양파(21.5%) 등의 채소류와 드레싱(29.5%), 잼(23.9%), 치즈(23.1%) 등의 가공식품도 20% 넘게 올랐다. 과실 중에서는 귤(18.3%), 사과(17.2%) 등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외식 등 음식서비스 물가는 1~10월 작년 동기보다 6.4% 올랐다. 피자(11.5%), 햄버거(9.6%), 김밥(8.9%), 라면(8.6%) 등이 많이 올랐다.

    먹거리 물가 상승은 소득이 낮은 계층에게 훨씬 더 큰 부담이다.

    2021년부터 지난 2분기까지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식료품·비주류음료에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25만8천원이었다. 같은 기간 월평균 처분가능소득(87만9천원)의 29.4%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여기에 음식서비스(식사비)로 지출한 금액(13만1천원)까지 더하면 1분위 가구는 식비로 월평균 39만원(44.4%)을 지출했다. 식비 지출이 처분가능소득의 절반에 달하는 것이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식비 비중은 소득 2분위 25.7%, 3분위 22.4%, 4분위 19.8%, 5분위 14.5% 등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컸다.

    정부는 배추·무 등 김장 재료에 대한 할인을 확대하고 수입 과일과 식품 원료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는 등 먹거리 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매주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어 상시로 물가 대응 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