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조선대 김호중 창업지원단장, "CSU창작마을센터 개소, 광주지역 창업 생태계 형성 기대"

  • 0
  • 폰트사이즈
    - +
    인쇄
  • 요약


광주

    조선대 김호중 창업지원단장, "CSU창작마을센터 개소, 광주지역 창업 생태계 형성 기대"

    핵심요약

    2022년 중소벤처기업부 '메이커 스페이스' 사업 선정, 국비 75억 지원
    6월 12일 월요일 오전 10시, 조선대학교 'CSU창작마을센터' 개소식
    1차년도 약 10억 원 국비 투입 111종 약 450개 장비 구축
    개인 취미, 산업 영역 등 아이디어 제작‧구현 위한 장비 지원
    메이커 문화 확산, 시제품 제작 지원, 제조‧창업 활성화 위한 프로그램 운영
    지역 내 주민, 일반인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

    ■ 방송 : [CBS매거진]광주CBS 라디오 표준FM 103.1MHz (월~금, 16:30~17:30)
    ■ 제작 : 조성우 PD, 이호승 작가
    ■ 진행 : 송원대학교 선은애 교수
    ■ 방송 일자 : 2023년 6월 7일(수)
     조선대학교 김호중 창업지원단장조선대학교 김호중 창업지원단장
    [다음은 조선대학교 김호중 창업지원단장 인터뷰 전문]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선은애> 지난해 조선대학교는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 운영사업 주관기관에 선정됐습니다. 다음주에는 'CSU창작마을센터' 개소를 앞두고 있는데요, 조선대학교 김호중 창업지원단장과 연결해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단장님, 안녕하십니까?
     
    ◆김호중> 안녕하십니까, 조선대학교 창업지원단장 김호중입니다.
     
    ◇선은애> 조선대학교가 메이커 스페이스 사업에 선정됐는데 먼저, 메이커 스페이스 사업에 대해 설명해주시죠.
     
    ◆김호중>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고 창업진흥원이 운영하는 사업으로 전문 시설장비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창작활동 지원을 통해 메이커 문화를 확산시키고, 제조 창업 활성화를 위한 사업입니다. 조선대학교는 2022년 전문랩에 신규 선정된 기관으로 1차년도에 총 25억 예산으로 시설 및 장비를 구축하였습니다. 
     
    ◇선은애> '메이커스페이스'는 정확히 어떤 의미인가요?
     
    ◆김호중> 쉽게 말하면 자신의 아이디어를 직접 제작, 구현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장비를 지원해주는 작업실의 의미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의 취미부터 산업 영역까지 창작을 원하는 사람들,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 시제품 제작을 원하는 기업에 꼭 필요한 공간이며, 전국에 다양한 메이커 스페이스가 구축되어있습니다. 그중에 조선대학교 메이커 스페이스는 2022년 선정되어 'CSU창작마을센터'라는 이름을 가진 전문랩으로 첨단 기자재 및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조선대학교 입석홀 지상 2층, 지하 1층에 있습니다.
     조선대학교 CSU창작마을센터. 조선대 제공조선대학교 CSU창작마을센터. 조선대 제공
    ◇선은애> 'CSU창작마을센터'의 개소식을 앞두고 있는데 개소식은 언제입니까?
     
    ◆김호중> 오는 6월 12일 월요일 오전 10시, 조선대학교 입석홀 건물에서 CSU창작마을센터 개소식이 진행됩니다. 광주시장, 광주 동구청장, 광주전남지방 중소벤처기업청장 및 지역 내 중요 외빈들이 참석하시고 기념사와 현판식 등 개소식 행사를 빛내주실 예정이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CSU 창작마을센터에서 개소식 진행을 위하여 3D프린터 및 CNC 등 센터 내 구축된 장비들을 활용하여 외빈용 흉화부터 전시용 시제품 등 센터 담당자들이 직접 제작과 개소식 준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이 개소식에 참석하여 CSU창작마을센터(메이커스페이스) 시설과 장비들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선은애> CSU창작마을센터에서는 어떤 것들을 할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김호중> 메이커 문화 확산, 시제품 제작 지원, 제조 창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 가장 중점인 프로그램은 시제품 제작 지원이고, 시제품 제작을 시작으로 투자지원, 판로개척을 통하여 제조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시중에서 접하기 어려운 전문 장비에 대해서 교육이 이루어지며, 교내뿐만 아니라 지역 내 주민, 일반인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 
     
    ◇선은애> 시제품 제작과 후속 지원 방향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나요?
     
    ◆김호중> 실제 메이커 스페이스 사업에 고용, 투자 지표 및 목표치가 있기 때문에 시제품 제작을 통하여 투자까지 연계시킬 수 있도록 크라우드 펀딩 교육 및 런칭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교내 창업 지원 유관부서 및 타 기관 연계를 통하여 지원할 수 있으며 창업보육센터 창업자들의 시제품 제작 연계와 가족회사, 기술지주회사 등 연계하여 사업화할 수 있도록 사업 방향을 이어 나갈 계획입니다.
     
    ◇선은애> 센터에는 다양한 전문 장비들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어떤 장비들이 있는지, 규모는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김호중> 1차년도 약 10억 국비 예산으로 111종 약 450개가 구축되어 있으며, CNC 장비나 산업용 3D프린터까지 시중에서 많이 접할 수 없는 고가 장비들이 구축되어 있습니다. 우리 대학 구성원뿐만 아니라 일반인 모두 이용하시면서 전문 장비에 대한 경험을 많이 할 수 있는 교육과 행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선은애>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한 메이커 스페이스 사업은 여러 곳에서 진행되고 있는데요, 조선대 CSU창작마을센터만이 가지고 있는 다른 곳과의 차별점은 무엇입니까?
     
    ◆김호중> 다른 메이커 스페이스와 차별화가 있다면 IT·바이오·헬스 특화 전문랩으로 3D프린터 중 고강도 복합 소재 출력으로 고강도 부품 및 지그 생산이 가능한 3D프린터(스타라타시스 사 F370CR)부터 산업용 3D프린터도 구축이 되어 있으며,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 기계 CNC 장비 중 초고속 스핀들과 4축 인덱스가 탑재된 하스 VF-2SS 장비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추가로 바이오와 관련된 화장품 제조 장비들이 구축되어 있습니다. 
     조선대 CSU창작마을센터 목공프로그램. 조선대 제공조선대 CSU창작마을센터 목공프로그램. 조선대 제공
    ◇선은애> 3D프린터 등은 사용해본 적이 없는 분들이 많으실 거 같은데요. 장비 사용은 어떻게 이뤄지는지, 이용료에 대해서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호중> 그럴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렇게 시중에서 접하기 어려운 전문 장비에 대해서 다루어 보고 싶고, 교육받고 싶은 분들을 위한 곳입니다. 전문 장비를 다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전이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각 장비에 대한 안전교육 및 장비 교육 과정을 이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운영하는 메이크올 사이트, 조선대학교 메이커 스페이스 인스타그램 및 블로그를 활용하시면 저희 센터에 대한 교육 및 행사 일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료 관련해서 외부 다른 업체에 시제품 제작이나 장비를 사용하려면 진행 기간 및 사이즈 등에 따라 많은 금액이 소요될 수 있는데, 메이커스 페이스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국고 지원을 통하여 일반인 및 메이커에 관심있는 누구나 자유롭고, 외부보다는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선은애> 일반인은 물론 어느 누구나 이용 가능하니 시제품을 제작하고 싶은 분들이 많이 이용하시면 좋겠네요. 마지막으로 청취자분들께 전하고 싶은 말씀 있으시면 해주시죠.
     
    ◆김호중> 초‧중‧고 학생부터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창업자, 그리고 시제품 제작이 필요한 제조기업까지 다양한 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많이 활성화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조선대학교 메이커 스페이스 센터는 공과대학 앞에 위치하고 있어 산학 병원 등 연구 및 창업 인프라가 우수한 동구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문 장비 교육뿐만 아니라 시제품 제작을 통하여 투자까지 연계시킬 수 있도록 크라우드 펀딩 교육 및 런칭을 위한 교육도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제품개발, 시제품 제작, 창업 아이디어 검증을 통하여 경제발전과 광주지역 창업생태계 형성에도 기여할 수 있는 센터로 거듭나기 위하여 많은 이용과 활성화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선은애>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조선대학교 김호중 창업지원단장이었습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