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워킹맘·대디 86% "코로나19로 일·육아 병행 부담 심화"



산업일반

    워킹맘·대디 86% "코로나19로 일·육아 병행 부담 심화"

    연합뉴스

     

    코로나19로 유치원 휴원이 잦아지고 초·중·고 원격수업이 길어지지면서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워킹맘·대디의 부담감이 더 커지고 있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은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직장인 361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시대의 일과 육아 병행'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 86.1%가 부담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부담감이 심화된 이유로는 '휴원과 원격수업이 장기화 돼서'(55.9%,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학습 지도가 어려워서'(32.5%), '갑작스러운 돌봄 공백이 잦아져서'(32.2%), '돌봄을 위한 연차 사용 등으로 회사에 눈치가 보여서'(29.9%), '아이 돌보미를 구하기 어려워져서'(25.1%) 등의 순이었다.

    응답자 10명 중 6명(62.9%)이 '코로나로 인해 돌봄 공백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돌봄 공백에 대한 대응으로 가장 많은 58.6%(복수응답)가 '연차 사용'을 꼽았다.

    돌봄 공백을 경험한 응답자 중 81.1%는 코로나19 이후 돌봄을 위한 연차 사용이 늘었다고 답해 주로 개인 연차 소진을 통해 공백을 메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부모님 등 가족 돌봄 지원'(45.4%), '가족돌봄휴가 사용'(19.8%), '재택근무'(15.4%), '시차출퇴근제 등 유연근무 활용'(13.2%), '아이 돌보미 고용'(11%) 등의 방안도 있었다.

    돌봄 공백으로 퇴사를 고민한 응답자들도 적지 않았다. 돌봄 공백을 겪은 응답자 중 60.8%가 '퇴사를 고민한 적 있다'고 답한 것. 이는 여성 응답자가 73.1%로 남성 응답자(47.2%)보다 2배 가량 더 많았다.

    퇴사를 고민한 이유는 '아이를 돌봐줄 사람이 없어서'(62.3%,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잦은 돌봄 공백으로 스트레스가 심해서'(32.6%), '잦은 연차 사용으로 회사에서 눈치를 줘서'(30.4%), '코로나로 유치원, 학교에 보내는 게 부담스러워서'(26.8%), '온라인 수업 등 달라진 환경에 아이가 힘들어해서'(25.4%) 등을 이유로 들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