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추미애 논란에 "국정운영 부담 가중"…대정부질문이 분수령



대통령실

    추미애 논란에 "국정운영 부담 가중"…대정부질문이 분수령

    정세균 총리 처음으로 秋장관 논란에 사과, 우려 표명
    국정운영 부담 가중 인정…'정치적 해법'에 관심 쏠려
    靑도 극도로 언급 꺼리며 긴장된 분위기속에 관망
    다음주 대정부질문서 추미애 해명과 여론 동향 지켜볼 듯

    추미애 법무부 장관. (사진=윤창원 기자/자료사진) 확대이미지

     

    추미애 법무부장관 아들 군생활 특혜 논란이 확산하면서 여권 내부에서는 국정운영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추미애 장관이 다음주 시작되는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휴가 연장과 통역병 청탁 의혹 등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정치적 해법'이 모색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10일 JTBC 뉴스룸에 출연해 "저와 같은 국무위원이 자녀 문제로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 드리고 있는 점에 대해 참 민망한 생각을 갖고 있다"며 사실상 사과했다.

    이어 정 총리는 "국민들께서 코로나19나 여러가지 경제 때문에 힘드신데, 이런 문제로 걱정을 더 하시지 않게 하는 게 마땅한 도리가 아닌가 생각한다"며 "이 문제가 검찰 수사를 하지 않고 있다면 다른 방법으로 상황을 정리할 수도 있겠다. (다른 방법이라면 ) 정치적인 방법도 있을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여권 관계자는 정 총리에 발언에 대해 거취에 대한 문제 제기는 아니라면서 "일차적으로 국정운영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안타까움, 국민에 대한 송구함의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아직 거취를 거론할 단계는 아니지만 추 장관 사태가 국정운영에 분명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은 인정한 것이다. 이 때문에 자연히 정 총리가 언급한 정치적 해법에 관심이 쏠린다.

    일각에서는 내주 중 추미애 장관이 공개 사과를 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선을 긋긴 했지만, 정 총리가 추 장관 사태를 심각하게 보고 있는 만큼 의혹이 제대로 해소되지 않을 경우 해임제청권 등의 카드를 꺼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청와대도 이번 사태가 1년 전 '조국 사태'처럼 국정동력을 떨어뜨리는 계기가 될까 살얼음판을 걷듯 초 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조국 사태' 당시 딸의 표창장과 입시 특혜 의혹이 나오면서 2030세대 분노를 촉발, 지지율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이번 추 장관 아들을 둘러싼 논란 또한 공정성과 관련된 문제라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청와대 참모들은 추 장관 사태에 대한 언급을 극도로 꺼리면서 일단 검찰 수사의 결과를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핵심은 추 장관이 아들의 병역 과정에서 특혜성 휴가가 있었는지 여부와 그 과정에서 당시 여당 대표였던 추 장관의 청탁이 있었는지가 관건이다. 실질적인 외압이나 청탁이 있었는지를 보기 위해서는 검찰 수사를 지켜봐야한다는 것이다.

    다만, 청와대가 이처럼 관망세를 계속 유지하는 데는 추 장관 논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을 아직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렵다는 부분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가장 최근에 나온 여론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은 하락한 조사(10일 발표된 리얼미터 주중조사)도 있지만, 전주에 비해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는 여론조사(11일 발표된 한국갤럽 주중조사)가 거의 동시에 나와 여론 흐름이 다소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주말 여론 동향과 다음주 대정부 질문 과정에서 이번 사태가 어떻게 전개되는 지를 지켜보며 대응책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