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신년기획④] 변화 맞은 현대차·불신 속 현대重 노사관계



울산

    [신년기획④] 변화 맞은 현대차·불신 속 현대重 노사관계

    현대차 노사, 8년 만에 파업 없이 임단협 가결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변화 속 인력 감축 과제
    현대중공업 2019년 임금협상 해 넘겨 교섭 진행
    구조조정에 이어 법인분할까지 조합원들 불신

    울산CBS는 새해를 맞아 주요 현안을 살펴보는 신년기획특집을 마련했다. 네번째 순서로 울산지역 양대 사업장인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의 노사관계를 살펴본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생산라인.(사진=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 노사관계 변화의 기류는 지난해부터 감지됐다.

    노사가 8년 만에 파업 없이 임금과 단체협약 잠정합의안을 마련한데 이어 노조는 이를 가결시켰다.

    한일 경제 갈등과 미·중 무역전쟁 등 보호무역 확산에 따른 위기에 대해 노사가 공감하고 양보한 결과다.

    노사는 또 '상생협력을 통한 자동차산업 발전 노사 공동 선언문'을 채택했다.

    선언문에는 부품·소재 국산화에 매진해 대외 의존도를 줄이고 협력사와 상생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선언문 채택에 따라 현대차가 925억원 규모의 대출 자금을 협력사 운영과 연구개발에 지원하기로 했다.

    외부에서 닥쳐온 위기와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 속에 원청과 협력사, 노사가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는 거다.

    특히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는 전기차와 수소차 같은 친환경차를 비롯해 자율주행차, 비행차량까지 이르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향후 5년 간 100조원을 투자해 하이브리드를 포함한 전동화 차량, 자율주행차 등 지능형 모빌리티 서비스로 사업구조를 재편한다고 밝혔다.

    기존 내연기관과 다른 자동 공정이 잇따르고 이를 준비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노사간 부각될 문제는 역시 인력.

    전기차 경우 내연기관차 보다 적은 인력으로 조립이 가능한데다 공정 자동화까지 가속화되면 인력 감축이 불가피하다는 거다.

    노조는 2017년부터 2025년까지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에 해당하는 조합원 1만7500명이 퇴직할 것으로 예상했다.

    노조가 단체협약에 따라 결원으로 인해 필요한 인력을 충원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회사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사측은 내연기관 관련 일자리가 갈수록 줄어들고 그동안 사내하도급 노동자를 정규직으로 특별채용한 만큼 노조의 요구를 다 들어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실리 성향의 이상수 현대차지부장이 당선되면서 앞으로 인력문제 등 노사관계가 어떻게 전개될 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대중공업 울산본사 전경.(사진=자료사진)

     

    현대중공업은 국내 조선 3사 가운데 유일하게 2019년 임금협상을 타결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새 노조가 출범하면서 기존 강성 성향의 집행부와 연속선상에 있다.

    전 집행부의 사무국장인 조경근 후보가 새 지부장으로 당선됐다.

    강성 성향 집행부의 집권은 지난 2013년부터 이어지고 있다.

    이를 두고 구조조정 갈등 속 고용 불안과 회사에 대한 조합원들의 불신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최근 노사간 갈등은 표면상 '법인분할(물적분할)' 이지만 그 이면에는 오래된 불신이 자리잡고 있다.

    회사는 2017년 현대중공업 분사분할에 이어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 해양공장(해양사업부) 가동 중단을 진행했다.

    당시 수주 급감 속에서 경영 효율을 통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결정이라는 게 회사의 설명이었다.

    회사가 자생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한 노조에 실망을 안겨주는 일이 발생한다.

    바로, 현대중공업 법인분할.

    이는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기 위한 절차로 알려지면서 노조는 물론 지역사회에도 큰 파장을 가져왔다.

    법인분할 과정에서 한국조선해양이라는 새 중간지주회사가 발족됐고 현대중공업은 이 회사의 자회사로 들어가게 됐다.

    당시에도 회사는 대우조선해양 인수가 세계조선산업 속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경영의 효율을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13조원이 넘는 공적자금이 투입될 정도로 부실한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는 과정을, 노조는 또 다시 지켜만 볼 수 없었다.

    노조는 지난해 5월 법인분할을 막기 위한 주주총회장 점거 등 저지에 나섰다.

    이에 대해 회사는 주총 장소와 시간을 변경하면서 법인분할 건을 결국, 통과시켰다.

    이후 노조가 물적분할 무효를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하는 등 반발하자 회사는 노조를 상대로 30억원 상당의 손해배상을 청구하고 조합원 100여 명을 고발했다.

    오랜 불신과 갈등의 골이 계속되고 있는 현대중공업 노사관계에서 이를 어떻게 풀고 봉합할지가 관건이 되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