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이낙연 후임자는 누구?…총선과 얽힌 '고차원 방정식'



국회/정당

    이낙연 후임자는 누구?…총선과 얽힌 '고차원 방정식'

    민주당 내 역할론 부각 속 복귀 시점 설왕설래
    "내년 초 복귀해도 충분" "野, 청문회 발목 가능성 서둘러야"
    국회 동의 필요한 후임, 청문회 통과 여권에 큰 부담
    당내 역학관계.공천전략에도 영향

    이낙연 국무총리가 9월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

     

    내년 총선 역할론과 맞물려 최장수 기록을 갱신한 이낙연 국무총리의 거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총리의 향후 행보는 여당 내 역학관계 뿐아니라 총선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여권 일각에서는 이 총리가 늦어도 내년 초에는 당으로 복귀해 총선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게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분위기를 쇄신해 새로운 얼굴로 총선을 치러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는 자연스럽게 이해찬 대표의 한계론과도 맞닿아 있다. 일찌감치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이 대표가 강한 당내 장악력으로 불협화음을 최소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조국 사태'에서 제대로 대처를 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다.

    조국 사태에 대해 이 대표가 지난달 30일 "청년들이 느꼈을 불공정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 좌절감은 깊이 있게 헤아리지 못했다. 국민 여러분에게 매우 송구하다"고 사과했지만, 일각에서는 여전히 인적 쇄신의 필요성을 내세우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 총리가 당으로 복귀하면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을 가능성이 크다. 그럴 경우 총선과정에서는 자연스럽게 이 총리에게 상당부분 힘이 쏠린 것이란 관측이다.

    첫 변수는 복귀 시점이다. 일단 이 대표는 조만간 윤호중 사무총장을 단장으로한 총선 기획단을 꾸리고 패스트트랙 법안과 예산안 처리 등을 마무리한 직후인 다음달 10일 선대위를 발족시킨다는 로드맵을 내놨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운데)가 지난달 30일 오후 국회 당 대표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개각을 예정하고 있지 않다"고 해 이 총리가 언제 '자유의 몸'이 될지는 불확실하다. 이 총리 측도 연말까지는 자리를 지켜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청와대 내부도 내년 초까지 이 총리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기류가 강하다.

    이 총리가 복귀하더라도 당내 총선 기구가 꾸려진 후 복귀할 공산이 크다.

    이 총리의 ‘늦은 복귀’는 공천 후유증에 대한 부담을 비켜갈수 있는 묘수가 될수 있다. 민주당이 '시스템 공천'을 천명했지만, 공천 탈락자의 반발 등 상당부분 내홍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한 초선 의원은 "이 총리가 당에 복귀하면 3주 정도만 전국적인 선거운동을 하면 충분하다"면서 "후임 등을 고려해 복귀 시점을 결정하면 된다"고 전했다.

    그러나 총리 내정부터 임명까지 기본 한달 이상이 걸리는 만큼 빨리 거취 문제를 결정해야 한다는 반론도 있다.

    한 중진 의원은 “야당에서 이 총리 복귀를 막기 위해 인사청문회를 안 열어주려고 버틸수 있다”면서 “잘못하면 총선 역할이 어려워 질수 도 있다. 이를 감안해 복귀를 위한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야당과 인사청문회를 두고 싸워야할 시간을 계산해 선제적으로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 총리의 후임자가 누가 되느냐는 당내 공천 전략과도 직결된다. 대표적인 사례가 정세균 의원 후임설이다.

    국회의장 출신의 정 의원은 지역구인 서울 종로구에서 뛰고 있지만, 그가 총리로 갈 경우 정치적 상징성이 있는 종로구에 새로운 인물을 공천할 여지가 생긴다.

    종로구는 이 총리나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 등이 나설 수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다른 한편으로는 이 총리의 복귀 자체가 인사청문회 변수로 여권에게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총리직은 장관직과 달리 국회 본회의에서 '재적의원 과반수출석과 출석의원 과반수 찬성'이라는 문턱을 넘어야 한다.

    상대적으로 낙마 위험성이 크다는 것이다. 총선 직전에 이뤄질 인사청문회에서 실패할 경우 총선에 큰 악재가 될 수밖에 없다. 조국 전 법무장관의 낙마 여진도 아직 채 가시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이 총리의 복귀 여부는 국회 동의를 받을 수 있는 후임자 물색이 전제 조건이 될것으로 보인다. 적당한 후임자를 못찾으면 이 총리가 총선까지 총리직을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현재 이총리 후임으로는 정세균 의원 외에 부산.경남(PK) 출신의 조윤제 전 주미대사, 경제부총리 출신의 김진표 의원 등이 거론된다. 세 사람의 공통점은 경제분야에도 정통했다는 점이다.

    '분수 경제론'을 주창했던 정 의원은 참여정부시절 산업자원부 장관을 지냈고, 조 전 대사는 역시 세계은행 선임경제 분석관, 대통령비서실 경제보좌관 등을 거쳤다.

    김 의원은 현 정권 국정 밑그림을 그린 국정기획자문위원장을 역임했다.

    여당 관계자는 "인사 청문회를 감안하면 정치권에 오래 있었던 정 의원과 김 의원이 좀더 유리하고, 변화에 방점을 찍으면 조 전 대사가 괜찮은 카드가 될수 있다"고 했다. 이 총리의 복귀는 그 자체가 총선에 어떤 나비효과를 나을지 알수 없는 ‘복합 함수’가 됐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