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이인영 "국회의원 소환제 논의하자"…최저임금 부작용 인정도



국회/정당

    이인영 "국회의원 소환제 논의하자"…최저임금 부작용 인정도

    오늘 본회의서 여당 교섭단체 대표 연설
    이인영 與 원내대표 첫 데뷔전
    무난한 연설…최저임금 일부 부작용 정부정책 비판
    "민노총 위원장 구속 수사 능사였나?" 반문하기도
    "보수·진보·남북·사회적 약자와의 공존의 정치 해야"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가 3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대표연설을 마치고 의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는 3일 진보와 보수, 남과 북, 사회적 약자를 위한 '공존의 정치'를 강조하며 국회 정상화의 의지를 밝혔다.

    또 선거제 개편과 정치 개혁 의지를 밝히며 야 3당 달래기에도 나섰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설과정에서 이 원내대표는 침착하게 연설문을 읽어 내려갔고,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중간 중간 항의를 하기도 했지만, 별다른 논란 없이 무난히 넘어갔다.

    이 원내대표는 연설에서 "국회의 시간이 멈추지 않도록 서로 인내하며 공존과 협치의 지혜를 모아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며 "국회는 타협과 상생의 물꼬를 터야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서로에게 조금의 빈 공간을 열어줄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진보 보수 혁신을 통한 공존▲남북 공존▲사회적 약자를 포용하는 공존 등 3가지 공존을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진보 보수 공존의 정치에 대해 "진보가 유연해지고 보수가 합리적이 된다면 우리는 다 함께 더 큰 공존의 시대를 열어갈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극좌의 경직과 극우의 광기에서 벗어날 때, 우리사회는 새로운 공존의 질서를 세울 수 있다"고 한국당을 향해 날을 세웠다.

    이어 그는 "무엇보다 막말과 혐오, 극단과 결별해야 한다"며 "막말과 혐오, 극단은 공존의 가치를 전면 부정하는 공공의 적이기 때문"이라고 잇다른 한국당의 막말 논란을 지적했다.

    이 원내대표는 또 국회 파행과 일하지 않는 국회를 지적하며 국회의원 국민 소환제를 정식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국회의원에 대한 국민소환제를 도입하고,일하지 않는 국회의원에게 페널티를 줘야한다"며 "일하는 국회를 위한 국회법 개정을 진지하게 논의해나갈 것을 제안한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20대 국회에서 여야 간 국회의원 소환제에 대한 논의가 촉발될지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가 3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이와 함께 이 원내대표는 "우리는 선거제도의 개혁과정에서 더 큰 공존과 협치를 위한 노력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거제 개편의 의지를 밝혔다.

    이는 전날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야 3당 대표가 민주당을 향해 선거제 개편 의지를 밝히라고 한 데 대해 답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그는 "민주당은 국민 속에서 더 큰 정당성을 마련하여 선거제도의 개혁과 비례대표제도의 진화를 위해 변함없이 전력을 다 할 것"이라고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연설에서 정부여권의 경제정책 방향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국회에 제출된 추경 외에도, 기업의 설비투자를 되살릴 수 있는 세제지원과 대규모 투자프로젝트에 대한 행정지원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확장재정 정책 기조를 밝혔다.

    이 과정에서 이 원내대표는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으로 인한 부작용을 인정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 2년간 최저임금은 매년 10% 이상 상승했다"며 "중소기업과 자영업의 부담이 상당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영세 자영업의 비중이 매우 높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의 규모와 경쟁력 격차가 너무 큰 우리경제의 현실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 원내대표는 "앞으로는 최저임금 인상률 그 자체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기보다 최저임금 인상이 중소기업과 영세 자영업에 일방적 부담이 되지 않도록
    상생의 메커니즘을 갖추는데 더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원내대표는 여성, 노동자, 청년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포용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민주노총 위원장에 대한 구속 수사를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운영위원장 예정자로서 탄원서를 제출하지는 못했지만, 민주노총위원장의 구속을 통한 수사가 정말 능사였는지 저는 반문한다"며 "공안과 편견의 시각을 거두면 우리에게 새로운 포용과 공존의 길이 보인다"고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이 밖에 이 원내대표는 평소 관심을 가져왔던 한반도 평화에 대한 의견도 밝혔다. 그는 "평화는 더 이상 이념도, 당위도 아니"라며 "꿈도 아니며 이미 다가온 현실일 뿐이다. 평화를 수용하면 미래의 길이 보일 것이며 평화를 부정하면 낡은 과거에 머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자유한국당은 더 이상 망설이지 말고, 한반도 평화를 수용하는 결단을 내리기를 기대한다"며 "평화로 가는, 통일로 가는 공존의 열차에는 모두가 탑승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한국당을 압박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