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북 발사체, 저각발사에 정밀도 높인 신형 탄도미사일 가능성



국방/외교

    북 발사체, 저각발사에 정밀도 높인 신형 탄도미사일 가능성

    軍 탄도미사일 규정에 멈칫거리지만 전문가들 '탄도미사일'에 방점
    "일반적 탄도궤적이 아닌 저고도 미사일은 탐지하고 요격 준비하는 사이 낙하"
    "이스칸데르 성능 갖췄는지 확인 안 되지만 대응책 서둘러야"

    북한이 지난 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아래 조선인민군 전연(전방) 및 서부전선방어부대들의 화력타격훈련을 했다고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사진은 중앙TV가 공개한 훈련 모습으로 단거리 미사일 추정체가 이동식 발사차량(TEL)에서 공중으로 치솟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군 당국이 지난 9일 북한이 쏜 발사체를 탄도미사일로 규정하는데 멈칫거리고 있지만 고체연료 엔진의 탄도미사일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군당국과 국정원은 10일 "탄도미사일이 아니라는게 아니라 단거리 미사일로서 탄도미사일 여부는 더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북 발사체가 탄도미사일로 규정될 경우 유엔제재 대상이 되고 우리 군도 대북압박을 강화하는 등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감안할 때 신중한 분석은 당연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북한이 발사체 발사장면과 영상을 이미 공개한 터라 탄도미사일 여부는 금방 확인된다며 군이 대응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50km 고도로 4백km 이상 날아간 발사체에 대해 저각발사로 설계돼 낮게 날아감으로서 우리 미사일 방어체계로 요격하기 어려운 신형 탄도미사일일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고도도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요격 고도 범위는 50km에서 150km, 그보다 낮은 미사일을 방어하는 패트리어트(PAC3)의 격 범위는 보통 20km에서 40km인데 북한이 절묘하게 50여 km 고도로 날아가는 신형 탄도미사일을 개발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장영근 한국항공대교수는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고체추진제가 연소하는 화염이 보이는데 고체추진제는 알루미늄 파우더를 추가해 하얀 연기가 나오고 화염폭이 크다"며 "북한이 발사한 것은 고체추진제를 쓴 탄도미사일이다"고 잘라 말했다.

    장 교수는 "북한이 요격 기술을 회피하기 위해 저각발사가 가능하도록 구조설계한 신형 미사일로 본다"며 "저각 발사된 미사일은 탐지하고 요격을 준비하는 동안 이미 낙하한다"고 우려했다.

    그는 "북한이 러시아의 이스칸데르 미사일을 복제개발한 것으로 본다"며 "실제 이스칸데르의 성능을 갖고 있는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목표물을 타격하는 사진으로 봐선 정밀도가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또 "이스칸데르의 경우 낙하속도가 마하 7에서 마하 10사이로 북한 미사일 성능이 이 정도라면 우리의 미사일 방어망으로는 요격이 불가능하다"며 "군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이 지난 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아래 조선인민군 전연(전방) 및 서부전선방어부대들의 화력타격훈련을 했다고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사진은 중앙TV가 공개한 훈련 모습으로 단거리 미사일 추정체가 이동식 발사차량(TEL) 위에서 발사를 위해 수직으로 들어 올려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북한이 신뢰성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면 우리가 요격할 수 있다고 큰 소리 치는게 의미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군이 4일과 9일 발사된 미사일에 대해 최종 어떤 결론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군 관계자는 10일 "현재까지 단거리 미사일로 평가하고 있다"면서 "이는 한미 공동평가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4일 발사된 것과 9일 발사된 발사체가 동일한 기종인지에 대해서도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 분석하고 있다"며 이동형 발사대가 다른 외형상의 차이와 발사체 비행특성이 상이한 점을 고려해 정밀분석 중이라고만 밝혔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