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강한 독성' 중국발 수은, 매년 21톤씩 우리나라 해저퇴적층에 쌓인다.



부산

    '강한 독성' 중국발 수은, 매년 21톤씩 우리나라 해저퇴적층에 쌓인다.

    해양시료도서관 퇴적물 시료 보관실(사진=연합뉴스)

     

    중국에서 배출되는 수은이 대기를 통해 넘어와 매년 21톤씩 우리나라 서남해 해저퇴적층에 쌓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해양기술원(KIOST)임동일 박사 연구팀은 21일 해양시료도서관에 보관중인 약 500개의 해저 퇴적물 시료를 분석,황해(서해 연안 포함)와 북동중국해의 해저 퇴적층에서 검출되는 수은의 기원, 운반과 집적과정, 그리고 퇴적 역사를 체계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결과를 보면 대기를 통해 황해와 북동중국해로 공급된 중국발 수은이 해수 중 유기물과 결합해 매년 약 21톤씩 해저로 침적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육상에서 하수를 통해 배출되는 수은은 강의 하구나 연안에 쌓이는 것이 일반적이이지만 대기를 통해 먼 바다까지 확산된 수은이 황해와 동중국해의 대륙붕 지역에서 해수 내 유기물과 결합해 해저퇴적층에 쌓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해저 퇴적물 내 수은의 오염도 분포현황(사진=한국해양기술원 제공)

     

    이런 연구 결과는 중국에서 대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당한 양의 수은이 황해/동중국해를 비롯하여 동해, 남중국해, 태평양 지역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덧붙였다.

    또 이번 연구결과는 한반도 주변 해양의 환경과 생태계에 수은이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기반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해당 논문은 해양환경 분야의 저명한 학술지인 'Marine Pollution Bulletin'최근호에 게재됐다.

    전 세계에서 매년 배출되는 수은의 양(그래프=연합뉴스)

     

    수은(mercury)은 강한 독성을 가진 오염 물질중 하나로, 대기 방출을 통해 전 지구적으로 순환하며 육상과 해양 유입을 통해 환경과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동아시아에서 매년 대기로 방출되는 수은의 양은 전 지구적 대기 총 방출량의 약 54%(약 1,100톤)를 차지하며, 이중 약 600톤이 매년 중국 대륙에서 방출되고 있다.

    또한 매년 약 750톤의 오염 수은이 중국으로부터 주변 해양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