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도올 김용옥 "위태로운 시국? 우리 역사 청산할 기회"



문화 일반

    도올 김용옥 "위태로운 시국? 우리 역사 청산할 기회"

    [도올의 대한민국 진단 ②] "이제는 경제민주화와 남북화해 성취해야"

    다큐멘터리 영화 '나의 살던 고향은' 주연을 맡은 철학자 도올 김용옥 교수가 지난달 21일 오후 서울 동숭동에서 CBS노컷뉴스와 인터뷰 전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그의 사상과 철학은 동·서양도, 종교도 가리지 않는다. 평생을 학문적 탐구에 쏟아 온 그에게는 여러 모습이 있다. 때로는 괴짜 철학자였다가, 날카로운 칼럼니스트였다가, 웃음기 많은 대학교수로 변신한다. 도올 김용옥 교수의 이야기다.

    영화계와 그의 인연은 오래됐지만 다소 격조한 편이다.

    '장군의 아들', '취화선' 등의 원안과 각본을 썼고, '다른 나라에서'에서는 조연인 스님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그랬던 그가 다큐멘터리 영화 '나의 살던 고향은'으로 첫 주인공 신고식을 치렀다.

    영화 속 도올은 영하 20도를 넘나드는 만주벌판을 누비며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를 찾아 나선다. 한 마디로 도올의 고구려·발해 역사 블록버스터인 셈이다. 그는 환희에 젖었다가도 순식간에 절망하고, 또 역사를 잘못 써가고 있는 국가에 분노한다. 방대한 지식과 이야기는 숨쉴 틈 없이 관객들에게 흡수된다.

    어느 해보다 더 춥고 혼란한 겨울, 도올 김용옥 교수를 만났다. 나무 냄새가 나는 아늑한 출판사에서 따뜻한 생강차 한 잔과 함께 인터뷰가 시작됐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부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까지. 도올이 이 시국에 내놓은 대한민국 진단을 정리했다.

    ▶ 지도자에 대한, 또 사회 지도층에 대한 국민들의 실망감과 절망감이 크다. 시대적으로 암울한 상황인데 이를 잘 타개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나?

    - 우리는 역사가 잘 진보하고 있다고 믿어왔지만 실제로는 터무니 없는 죄악이 우리를 덮어쓰고 있었던 셈이다. 전 국민이 그걸 느끼지 못하고 살아갔는데 결국 이 사건이 우리를 자각하게끔 만들어줬다. 해방 후에 반민특위(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의 좌절로부터 계속된 역사를 청산할 수 있는 순간을 맞이했다. 그렇기에 우리는 기쁨과 희망에 충만해 있어야 한다. 어떻게 보면 하나의 축복이라는 생각이 든다.

    ▶ 촛불 집회 초반에 자유 발언을 하기도 했다. 앞으로도 꾸준히 참여할 생각이 있는지 궁금하고, 결국 이 시국이 어떻게 흘러갈 것으로 보고 있나?

    - 결국은 해결이 될 것이다. 박근혜 정권은 물러날 수밖에 없고, 이후 프로그램들을 정치인들이 잘 짜서 진행을 해야 한다. 저 같은 사상가가 하는 것은 끊임없이 공부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다. 모두가 말하지 않을 때는 목소리를 내야 하지만 이제 모두가 말하기 시작할 때는 말할 필요가 없다.

    ▶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등 동북아시아 질서가 재편되려는 분위기가 계속되고 있다. 경제는 계속해서 어려워지고 있고, 국내외로 위기에 몰렸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 이명박 정부는 4대강에 전념했고, 박근혜 정부는 최순실이 국정 농단을 했다. 사실 우리가 지금 이렇게 국내 문제에 매몰돼 있을 때가 아니다. 그건 우리 역사가 나아갈 길이 아니다. 그들이 퍼부은 돈으로 국제 경쟁력을 키울 수도 있었고, 젊은이들이 꿈을 가지는 기회를 마련할 수도 있었다. 우리는 철저히 기만당한 셈이다. 박정희 대통령 이후, 계속 까먹기만 한 우리 경제 상황은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긴박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자기들은 영원하고, 국민들은 기만당하는 그런 정치가 가능한지 모르겠다. 정말 비극적인 국가 시책이다.

    ▶ 대기업들고 최순실의 유착 관계 의혹이 점차 커지면서 무조건 대기업을 보호하려는 분위기도 서서히 바뀌고 있는 것 같다. 대기업의 존재 가치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나?

    - 프랑스 인류학자와 대화를 했을 때가 생각난다. 그가 말하기를 선진국은 부자가 20년을 못 간다더라. 20년이면 대기업이 몰락하기도 하고, 그런 게 보통 있는 일이라는 거다. 우리는 국가를 위해 대기업이 절대 망하면 안된다고 생각하는데 대기업이 망하면 그 지분만큼 꿈이 생긴다. 그들이 독점하고 있는 게 결국 권력과 결탁한 결과물이 아니냐. 대기업이 망할 수록 우리에게는 좋다. 그래야 젊은이들이 창업한 중소 벤처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다. 그들이 (돈을) 안 벌면 누군가는 벌게 되어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