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털을 자르는 기준이 뭐예요?"



공연/전시

    "털을 자르는 기준이 뭐예요?"

    [노컷 리뷰] 극단 미인, '검열관과 털'

    검열에 저항하는 젊은 연극인들의 페스티벌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가 대학로 연우소극장에서 진행 중입니다. 6월부터 시작해 5개월간 매주 1편씩, 총 20편의 연극이 무대에 오릅니다. CBS노컷뉴스는 연극을 관람한 시민들의 리뷰를 통해, 좁게는 정부의 연극 '검열'부터, 넓게는 우리 사회에 알게 모르게 뿌리박힌 모든 '검열'의 위험성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리뷰 순서="">
    1. 우리 시대의 연극 저널리즘 / '검열언어의 정치학 : 두 개의 국민'
    2. 포르노 시대 한가운데에 선 나를 보다 / '그러므로 포르노 2016'
    3. 그들이 ‘안티고네’를 선택한 이유 / '안티고네 2016'
    4. 주장이 구호가 안 되게 서사의 깊이 보장해야 / '해야 된다'
    5. 2016년 우리는 <김일성 만세="">를 볼 수 있는가 / '자유가우리를의심케하리라'
    6. 불신, 이래도 안 하실 겁니까? / '불신의 힘'
    7. 그는 검열하는 자신이 옳다고 생각했겠지 / '15분'
    8. 우리에게 희망은 있는 것일까? / '광장의 왕'
    9. 정수라의 ‘아! 대한민국’과 정태춘의 ‘아, 대한민국’ / '이반 검열'
    10. “내 정보는 이미 팔렸다. 내가 태어나기도 전에” / '삐끼ing', '금지된 장난'
    11. ‘안정’이라는 질병에 대한 처방전 / '흔들리기'
    12. '우리' 안에 갇힌 '우리' … 개·돼지 같구나 / '검은 열차'
    13. '그때 그 사람'을 생각하는 일 / '그때 그 사람'
    14. 극(極)과 극(劇) / '괴벨스 극장'
    15. 그래도 행진하는 바보같은 예술을 위하여 / '바보들의 행진'
    16. "털을 자르는 기준이 뭐예요?" / '검열관과 털'
    (계속)

    연극 '검열관과 털'. (제공 사진)

     

    솔직하게 밝히자면, 미안하게도 연극은 고등학교 시절 현재 매년 국제연극제가 열리고 있는 고향에서 본 것이 마지막이었다. 극단에 들고 싶어 오디션을 찾은 경험은 있지만 연극에 대한 관심은 그때뿐이었다. 스마트폰에 의지해 찾은 연우 소극장은 사실 충격이었다. 연우소극장의 환경이 삼십여 년 전에 찾았던 고향의 한 소극장의 환경과 겉으로 보기에 별반 다르지 않아 보였기 때문이다.

    '검열관과 털'이라는 제목의 연극이 궁금해서 연극에 관한 정보를 찾아보았다. 70년대 초 배경으로 오로지 영화에 털이 나오는 장면을 골라 잘라내고 영화 개봉 불가 도장을 찍는 일에 관한 내용이라는 간략한 정보를 접했다.

    연극 '검열관과 털'. (제공 사진)

     

    리뷰 일정이 아니었다면 아마 내가 이 연극을 볼 것인가 말 것인가, 아니면 다른 연극을 볼 것인가 또는 내 취향에 맞는지 어떤지 알아보고 선택했을 것이다. 지방의 작은 시골에 살기에 서울 일정에 맞춰 연극을 예약했는데 원래 서울의 일정이 취소되었다. 빠듯한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연극을 보기로 한 약속을 파기할 것인지 서울행을 감행할 것인지 선택을 해야 했다. 이렇듯 우리는 끊임없이 선택을 하며 삶을 이어 나간다. 나 스스로를 검열하고 통제하고 선택하게 만드는 기준은 무엇일까?

    연극 '검열관과 털'. (제공 사진)

     

    연극은 사전심의위원 변 주임과 박 계장이 <헬가>라는 제목의 성교육 영화를 개봉하기 전 심의하는 장면부터 시작한다. 음부가 점점 확대되는 장면이나 남자의 성기가 노출되는 장면 등을 삭제하고 심의를 통과시킨다는 내용인데, 박 계장이 영화 제목이 <헬가>라고 말하자, 변 주임이 "지옥으로 가?" 라며 웃는 장면이 나온다. 연극 첫 장면에서 영화 제목을 왜 <헬가>라고 했는지 궁금했다. 단지 요즘 SNS에 떠도는 헬조선이라는 말의 변형이었을까? 1940년대 배경의 <사랑과 죽음의="" 마지막="" 다리="">라는 독일-이탈리아 연맹군과 유고의 빨치산에 관련된 영화가 있다. 의사의 윤리와 민족의 중요성 사이에서 고뇌하는 여주인공 독일인 의사 '헬가'도 겹쳐진다.

    연극 '검열관과 털'. (제공 사진)

     

    신입 9급 공무원 영남은 영화의 심의 방법을 배우는 과정에서 어차피 잘릴 영화를 도대체 왜 만드는지 모르겠다며 보건부 직원에게 묻는다. "그러게요. 밥도 안 나오는 것을 왜 자꾸 만드는지 모르겠네요. 한 번 생각해 보세요"라는 대사를 하며 퇴장한다. 밥줄을 쥐고 흔드는 권력 아래서 고뇌하며 힘겹게 저항하거나 밥줄이 끊길까봐 굽실거리는 살아있는 것들이 안쓰러워 목구멍이 콱 막히고 눈두덩이가 시큰거리다가 뜨거워졌다. 중간 중간 폭소를 자아내는 장면이 있어 관람객을 따라 웃기는 했지만 그 웃음은 씁쓸하고 무거웠다.

    영화 말미에 <헬가>라는 성교육 영화의 심의를 통과시키는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계장과 주임은 근무지에서 해고된다. 신입 공무원 영남이 마음에 두었던 보건과 직원은 사직 권고를 받고 사표를 제출한다. 영남이 홀로 영화를 보고 심의 도장을 찍어야 하는 상황이다. 관람객은 그가 영화 전체를 관람하고 심의 후 검열 통과 불가 중 어떤 도장을 찍었는지 알 수 없다.

    연극 '검열관과 털'. (제공 사진)

     

    '검열'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언론이나 출판, 연극, 영화, 우편물 따위의 내용을 미리 살피고 조사하여 그 발표를 통제하고 사상을 통제하거나 치안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인간의 본능에 잠재해 있는 위험한 욕구를 도덕적 의지로써 억압하거나 통제하는 등의 일을 하는 것이다'라고 나와 있다. 일상에서 나는 말이나 행동을 하기 전에 나 스스로를 검열하는 일상이 습관화되어 있다. 어린 시절 엄하게 통제된 가정환경에서 자란 탓도 한몫 거들었을 것이다. 삶은 외부의 영향과 내부에서 들려오는 양심 사이에서 끊임없이 결정할 일이 반복된다. 한 가정을 이루면서 스스로를 검열하던 시선을 좀 더 확장해서 아이를 통제할 권력을 손아귀에 쥐고 흔들기도 하고, 부부간에 서로를 검열하며 통제하기도 한다. 그것이 확장되면 사회가 되고 국가가 되는 것이다.

    연극 '검열관과 털'. (제공 사진)

     

    개인의 선택은 자유와 함께 스스로에 대한 책무가 주어지는 반면, 외부로부터의 통제는 억압이자 간섭으로 자유로운 선택의 삶을 끊임없이 방해하고 행복하게 살 권리와 자유를 앗아가고 결국엔 스스로를 통제하게 만들어 옴짝달싹 못하게 만들기도 한다. 국가와 사회 구조적 통제 아래에서 나는 어디까지 자유로울 수 있는가? 나 스스로를 검열하고 행동하게 만드는 그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 돈인가 권력인가 양심인가 아니면 또 다른 그 무엇인가?

    연극을 보고 집으로 돌아오는 버스 안에서 둥그런 붉은 해가 빌딩 숲 사이를 타고 넘어가는 것을 보았다. 지난해 '민중총궐기'에 참여해 시위를 벌이다 경찰의 물대포를 맞고 317일 동안이나 사경을 헤매던 백남기 농민이 25일 오후 2시 14분에 영면에 드셨다는 소식이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이경화 / 도예가 아내{RELNEWS:right}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