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기존 학설 뒤엎은 '암 단백질 작동 원리' 밝혀져



IT/과학

    기존 학설 뒤엎은 '암 단백질 작동 원리' 밝혀져

    암과 같은 난치성 질환의 진단과 맞춤형 치료 기대

     

    암 치료에 중요한 세포막 수용체의 새로운 분자 변형과 작동 메커니즘이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분석기술을 통해 분자 단위 수준에서 새롭게 발견됐다.

    암, 당뇨와 같은 난치성 질환은 관련 신호전달 체계의 이상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때 세포들 간의 신호전달 중심 결정기구를 ‘세포막 수용체’라 하고 이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질병의 진단과 치료 전략 수립의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세포 내 신호전달 메커니즘 중에 가장 빠르고 대표적인 작동 메커니즘은 분자 변형이다. 이러한 분자 변형은 같은 단백질 내에서도 다중 복합적으로 발생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지만 현재까지 이러한 다중 복합적 분자 변형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은 전무하다.

    기존의 다중 복합적 분자 변형 연구의 분석상 오류를 피하기 위해서는 단일 분자 수준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포항공대 류성호 교수 연구팀은 단백질 분자의 특이적인 결합을 활용한 단분자영상기술인 '심블럿(Single-Molecule Blotting, SiMBlot) 기술'을 최초로 자체 개발해 단일 분자 수준의 분석이 가능하게 됐다.

    심블럿 기술은, 항원-항체 반응을 단일 분자 수준에 적용해 단일 분자 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분자 변형이 공존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분석 기술이다.

    심블럿 기술을 활용해 암 치료 표적 세포막 수용체인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에 적용한 결과, 다중 복합적 변형이 아닌 여러 종류의 단일 분자 변형으로 일어나는 것을 최초로 밝혔다.

    이는 20년 넘도록 EGFR이 외부 자극에 의하여 다중 복합 분자 변형이 일어나 세포내 작용을 조절할 것이라고 믿어 왔던 사실과 상반된 결과이다.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심블럿 기술을 통해 세포막 수용체의 다중 복합적 분자 변형에 대해 처음으로 단분자 수준에서 정확하고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게 됐다.

    또한 단일 분자 변형의 EGFR들이 모인 집합체에 의한 분자적 신호전달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제시함으로써 유방암, 대장암 등의 EGFR 변이에 의한 암들에 관하여 EGFR 집합체의 분자상태와 작동원리에 기반하여 새로운 진단 및 치료 기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류성호 교수는“이번 연구는 기존 분석 방법의 오류를 극복했였고, 이를 통해 오랫동안 인식되어 온 기존의 학설과 상반된 연구결과로 향후 암과 같은 난치성 질환의 진단과 맞춤형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 연구는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3월 24일자에 게재됐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