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부산시-BIFF 검찰 고발 갈등, 공멸 부르나



부산

    부산시-BIFF 검찰 고발 갈등, 공멸 부르나

    부산시 "고발 불가피" 문화계 "영화제 보이콧"

    올해 열린 부산국제영화제 모습 (사진=자료사진)

     

    부산시가 부산국제영화제(BIFF) 이용관 집행위원장 등 3명을 검찰에 고발한 것과 관련해 부산시의 BIFF 흔들기 논란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

    BIFF를 옹호하는 문화계와 시민단체는 영화제 보이콧이나 서병수 시장에 대한 주민소환을 추진할 수 있다며 고발 철회를 요구하고 있지만, 부산시는 감사원 처분을 거스를 재량이 없다며 맞서고 있어 사태 악화가 우려된다.

    부산시는 16일 오후 긴급 입장발표를 통해 이용관 집행위원장과 BIFF 전·현직 사무국장에 대한 검찰 고발 결정이 부산시의 자의적 판단이 아님을 강변했다.

    감사원 처분 결과를 지방자치단체가 거스를 수 없고, 만약 이행하지 않으면 교부세 삭감이나 기관감사 등의 징벌을 받을 수 있다며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또, 감사원이 적발한 허위계약을 통한 협찬중계수수료 제 3자 부정 지급은 엄연히 현행법에 저촉되는 회계부정 사안인 만큼 의혹 해소차원에서라도 수사기관의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부산국제영화제 이용관 집행위원장에 대한 두번째 사퇴 종용 논란이 확산된데 대해서는 크게 곤혹스러워하는 반응이지만, 검찰 고발을 철회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라며 분명한 선을 그었다.

    이병석 부산시 문화관광국장은 "검찰 고발이 정치적으로 해석되는 것에 대해 대단히 당혹스럽지만, 실무적으로 볼때 협찬 중개수수료 허위 계약 문제는 반드시 수사기관의 조사를 통해 사실 관계를 밝혀야 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감사원 처분 결과를 통보받고 2개월여 동안 숙고했던 점이나 검찰 고발 사실을 대외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다가 언론을 통해서야 알려진 사실에서 부산국제영화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나 이용관 집행위원장의 명예를 지켜주기 위한 시의 고민과 노력을 알아봐줬으면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하지만, 부산영화제에 대한 감사원 감사가 다이빙벨 사태에 대한 보복성 표적감사라는 불신을 사고 있는 상황에서 이같은 부산시의 설명이 얼마나 시민공감대를 얻을 수 있을지는 두고볼 일이다.

    차후 검찰 수사의 공정성을 의심하는 눈초리도 만만치 않다.

    BIFF를 옹호하는 영화계와 지역 문화계, 시민사회단체는 검찰 고발을 철회하지 않으면 부산영화제를 보이콧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일부에서는 서병수 부산시장에 대한 주민소환까지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다시 재현된 갈등에 부산시와 부산국제영화제 모두 치명상을 입는 최악의 상황이 초래되지 않을지 우려된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