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최재성 "文 입장 변함없다…탈당은 자기집 부수는꼴"



국회/정당

    최재성 "文 입장 변함없다…탈당은 자기집 부수는꼴"

    "문재인 대표, 같은 입장 다시 내봐야 서로 상처만…"

    - 안철수 혁신안, 한달 만에 수용 결단했는데…
    - 뽑은 대통령 다시 뽑자는 주장과 뭐 다른가
    - 이전 총선 前 전대는 통합전대…지금과 달라
    - 정치에는 기준 있어…당 만든 安, 탈당 없을 것
    - 남은 일은 안철수 혁신안을 수용하는 과정뿐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최재성 (새정치민주연합 총무본부장)

    위기의 새정치민주연합, 결국은 마지막 선택의 기로까지 온 것 같습니다. 안철수 전 대표가 어제 긴급기자회견을 열었죠. 문재인 대표에게 혁신전당대회 개최를 다시 한 번 촉구하면서 ‘이게 마지막 요구다’, 일종의 최후통첩을 한 겁니다. 탈당이라는 단어를 쓰지는 않았지만 문맥상 이번에도 수용이 안 되면 탈당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걸 누구나 알 수 있는 그런 기자회견이었습니다. 이제 문 대표는 어느 쪽이든 답변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됐습니다. 들어보죠. 문재인 대표의 입장을 사실상 대변해온 분, 새정치민주연합 최재성 총무본부장이 연결 돼 있습니다. 본부장님, 안녕하세요.

    ◆ 최재성> 안녕하세요.

    ◇ 김현정> 안녕하시냐는 인사를 드리면서도 제가 편치가 않네요. 어제 안철수 전 대표 기자회견을 저도 실시간으로 지켜봤습니다만. 전보다 훨씬 비장한 어조였고 사실상 최후통첩이다, 이런 느낌이 들던데 어떻게 느끼셨습니까?

    (사진=자료사진)

     

    ◆ 최재성> 사실 어제 안 전 대표님의 기자회견은 한마디로 전당대회를 다시 하자는 그런 기존의 말씀을 되풀이하신 것이 핵심이 되겠습니다. 이미 문재인 대표께서 많은 고민과 또 의견수렴을 거쳐서 전당대회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리고 좋은 방법이 아니라는 당내의 대다수의 의견이 있었거든요. 그런 것을 다 수렴해서 이미 지난 기자회견 때 ‘이제 좌고우면할 시간도 없고 그래서 앞으로 가겠다’, 이런 얘기를 했는데, (안 전 대표의 회견에서 그 위에 더 진전된) 다른 내용을 찾아보기가 어려웠습니다.

    ◇ 김현정> 그 말씀은 이미 문재인 대표의 답은 지난 기자회견에서 끝이 난 거다, 더 이상의 어떤 고민할 부분은 없다, 이런 말씀인가요?

    ◆ 최재성> 안철수 대표께서 말씀하신 소위 이제 혁신안에 대해서 당에서 어떻게 수렴하고 실천할 것인가 이런 것이 남은 것이고요. 안철수 대표께서도 혁신이 중요한 것이고 혁신의 내용에 대해서 응답하라고 말씀을 계속해 오셨기 때문에, 그것을 어떻게 실천하고 총선 일정을 차질 없이 진행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로 남은 것입니다. (문 대표가) 다시 또 같은 말씀을 드리기가 좀 어려운 상황이 아닌가 싶습니다.

    ◇ 김현정> 이미 결론이 났군요. 그런데 어제 기자회견 중에 안철수 전 대표는 어떤 이야기를 하셨냐 하면 ‘전에 내가 제안했던 10대 혁신안을 왜 여태 수용하지 않다가 이제야 수용한다고 하느냐, 그거 진정성 있는 거냐’ 이렇게 공개적으로 질문을 하셨어요. 거기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답을 주실 수 있습니까?

    ◆ 최재성> 안철수 대표께서 제시하는 혁신안이 또 당내에서 100% 모두에게 수렴될 수 있는 혁신안이라는 보장이 없었던 것이거든요. 그래서 책임져야 될 대표 입장에서는 매우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었고요.

    ◇ 김현정> 신중했던 거다.

    ◆ 최재성> 그래서 12월 3일 기자회견 전에 이미 그것에 대한 수용 의사를 말씀을 하셨고 그것을 12월 3일날 재차 확인을 했고요. 또 그 이튿날이 12월 4일날 구체적인 당헌당규에 반영할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를 하셨습니다. 정치라는 것이, 안철수 대표처럼 당에 중요한 역할을 해 오신 분의 이야기를 그냥 쉽게만 다룰 수 없는데다, 또 불과 한 달 전의 얘기거든요. 그래서 그것을 최종적으로 수렴을 한 것을 가지고 또 했니 안 했니 하는 것은.

    ◇ 김현정> 왜 빨리 안 받았느냐.

    ◆ 최재성> 그렇죠. 왜 시기적으로 왜 하필이면 그때 했냐 하고 같은 말씀인데. 그렇게 또 얽매일 문제가 아니지 않습니까? 어떻게든 통합하고 해결하자는 뜻이기 때문에요.

    ◇ 김현정> 그래서 그 요구했던 안 전 대표가 요구했던 그 10대 혁신안은 이제 우리가 수용을 하지만 혁신전당대회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말씀이시잖아요. 그런데 안 전 대표는 그 부분에 대해서 얘기를 했습니다. ‘물리적인 일정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이건 말이 안 된다. 왜냐하면 지난 시절을 돌아보면 총선 앞둔 그해 초에 전당대회를 열거나 혹은 그에 준하는 총선 리더십 재창출을 항상 해왔다, 이번이라고 못한다는 건 변명이다’ 이러시더라고요.

    ◆ 최재성> 조금 다른 겁니다. 뭐냐 하면, 지금 안철수 대표께서 말씀하신 것은 지금 문재인 대표를 전당대회에서 뽑았는데 사퇴하고 다시 문재인 대표 나와서 그래서 경쟁에서 또 전당대회 하라는 내부의 이미 진행된 절차를 한 번 더 다시 하자는 당내 내부 전당대회가 되는 것이고요. 과거의 전당대회, 총선 앞두고 한 전당대회는 당 바깥의 세력과의 통합전대였기 때문에 1:1 구도를 만들기 위한 그런 전당대회였다는 것입니다.

    ◇ 김현정> 좀 무리인 주장이다 이 말씀이신데, 분열 문제에 대한 부분은 어떠세요? 안 전 대표가 어제 어떤 이야기를 했냐 하면 ‘당이 분열하기 때문에 혁신전당대회를 못 치른다는 문재인 대표 말씀은 마치 국론이 분열되는데 대통령 선거는 왜 하느냐는 논리와 같다. 대통령 선거가 국민들에게 분열과 대결을 불러오기 때문에 선거 피하고 대통령 추대하겠다는 말과 같은 거 아니냐’, 이렇게 아주 직접적으로 말씀을 하시더라고요.

    ◆ 최재성> 그런데 대통령 선거는 정해진 날 안 뽑으면 큰 일 나는 거 아닙니까? 뽑힌 대통령을 다시 그만두라 그러고 다시 선거하자고 하는 것은 적절한 비유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지금 문재인 대표께서 전당대회를 통해서, 선거를 통해서 뽑히셨고 지난번에 재신임도 하도 당이 분열상황이고 대표에 대해서 자꾸 물러나라는 얘기를 하니까 재신임 카드를 던졌고 모두의 만류로 중단할 것을 합의했던 것 아닙니까? 그리고 당은 내년 4월 총선 직후에 전당대회를 치를 수밖에 없는, 그래서 회기를 이미 총선 직후로 날짜를 받아놓은 상태입니다. 그래서 적절한 비유라고 보기 어렵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 김현정> 이미 뽑힌 대통령을 다시 뽑자라는 주장과 같다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지금까지 하신 말씀을 쭉 다 종합을 해보면 안 전 대표의 전당대회안은 받기 어렵다는 말씀이 되는데, 그런데 사실상 안철수 전 대표는 배수진을 쳤습니다. 이게 마지막 제안이다, 어제 말을 분명히 했습니다. 그러면 최후의 경우에는 안 전 대표가 탈당을 선택할 수도 있다는 건데. 그래도 어쩔 수 없는 건가요?

    ◆ 최재성> 그런데 지금 당이 안 전 대표께서 사실 만든 당이라고 볼 수 있지 않습니까? 그래서 그렇게 생각하실 리도 저는 없다고 보고요. 또 그러실 분도 아니라고 생각을 합니다. 이 당을 사실상 통합해서 만든 분이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기는 어렵다, 그러지 않으실 거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 김현정> 이 당을 만든 분인데 어떻게 탈당이라는 말을 할 수가 있겠느냐. 그거는 최재성 본부장님의 바람이신 것 같기는 한데. 어제 쭉 들은 느낌은 누구나 이 분이 탈당을 염두에 두고 있구나 생각은 할 수 있었거든요. 정말 그런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것 아닌가요?

    ◆ 최재성> 어떤 사람은 탈당할 것이라는 느낌을 또 가질 수 있지만 저 같은 경우나 또 정치의 기준을 경험하거나 알고 있는 사람은 그러기 어렵다, 그러지 않으실 거다, 이런 느낌이 또 있는 것이죠.

    ◇ 김현정> 정치의 기준을 알고 있는 사람, 충분히 알고 있는 전문가 입장에서, 정치인 입장에서 보기는 그런 선택을 하기 어렵다. 지금 만약 그런 선택을 한다면 그건 정치적으로 잘못된 선택을 하는 거다, 이런 말씀이시군요.

    ◆ 최재성> 그럴 리가 없고요. 그렇게 생각 안 하실 거다, 그런 정도는 저는 많은 분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계시고 그것이 하나의 기준 아니냐. 이런 뜻입니다.

    ◇ 김현정> 그것이 정치적인 기준, 어떻게 보면 신뢰의 문제, 이렇게 보시는 거예요?

    ◆ 최재성> 아니요, 자신이 통합을 통해서 만든 정당을 이렇게 탈당을 한다는 것은 그렇게 생각할 수도 없고 맞지 않는다는 그런 말씀이죠.

    ◇ 김현정> 그런데 탈당하실 것 같은데요, 본부장님. 지금 느낌으로 봐서는.

    ◆ 최재성> 느낌이지 않습니까? 그런데 자기가 만든 집을 누가 그걸 부수겠습니까? 그리고 누가 자기가 만든 당을 뛰쳐나가겠습니까? 그것은 누구나도 더 당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그럴 수밖에 없는 시간을 지내오신 분 아닙니까? 그런데 자꾸 탈당할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는 것으로 예단할 수는 저는 없는 일이라고 봅니다.

    ◇ 김현정> 자기가 어떻게 만든 집인데 그걸 부수는 주인이 있겠느냐 이런 말씀이세요. 일각에서는 그런데 ‘이렇게 된 상황에서는 차라리 당이 더 이상 흔들리는 것보다는 그냥 한 번 차라리 탈당 사태를 빨리 겪는 게 낫지 않겠느냐, 매를 좀 빨리 맞는 게 낫지 않겠느냐’라는 분도 계세요. 한상진 교수 같은 경우에는 창조적 파괴의 필요성, 이런 말씀도 하시더라고요. 어떻게 보십니까?

    ◆ 최재성> 저도 한 교수님 말씀은, 정치는 책임인데 그 책임에 대해서 그 책임 선상에 서보시지 않았기 때문에 상상할 수 있는 또 주장할 수 있는 말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정당은 가능한 한 특히 야당의 경우에는 그야말로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경쟁할 수밖에 없는 처지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사람 하나라도 또 더 확보를 해서 1:1 구도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한국 정치 상황에서 야당 입장에서는 아주 절실한 문제입니다. 그런데 창조적 파괴라는 이름으로 이것을 더 분열을 시키고 더 갈라지게 하고 하는 것은, 저는 관념적으로 상상할 수 있는 일이지만, 현실적으로는 또 역사적으로 증거된 그런 상황에 입각해서 봤을 때는 그것은 책임지는 모습하고는 전혀 다른 그런 주장이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