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시론] 당청 갈등 뇌관 건드린 안심번호 공천제



칼럼

    [시론] 당청 갈등 뇌관 건드린 안심번호 공천제

    • 2015-10-01 16:41

     

    안심번호 공천제 합의 파문이후 당청갈등이 전면화되는 양상으로 격화되고 있다. 어제 '당 대표에 대한 청와대 관계자의 모욕'을 '오늘까지만 참겠다'고 했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다시 오늘 공식 일정을 모두 취소했다. 대통령과 함께 참석하는 국군의 날 행사에도 빠졌다. 오히려 야당 대표들만 참석했다. 당청 갈등 상황에서 자신이 항상 몸을 낮추면서 정리했던 김무성 대표가 이번에는 청와대와 친박의 왜곡, 모욕에 더 이상 참지 못하겠다고 대응하는 형세이다.

    새누리당의 총선 공천방식을 둘러싼 갈등은 사실상 김무성 대표 진영과 청와대·친박 진영 사이의 노골적인 권력투쟁이다. 김무성 대표는 지난 4월 당론으로 채택했다는 오픈프라이머리를 정치생명을 걸고까지 관철시키겠다고 강조해 왔다. 민주적 절차인 상향식이라는 점도 있지만, 전략공천이나 권력의 개입 여지를 막겠다는 것이 제1의 목표였다. 그러나 일반 국민이 참여해 정당의 총선 후보를 결정하는 이른바 오픈프라이머리의 제도화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지면서 김무성 대표의 오픈프라이머리 주장은 수정이 불가피했다. 당내 친박 진영은 책임론까지 말하면서 압박했다.

    이런 상황에서 김 대표가 지난 추석 휴가 기간인 28일에 새정치민주연합의 문재인 대표와 만나 새로운 대안으로 '안심번호를 이용한 국민공천제'에 합의했다. 파장이 컸다. 친박 진영과 반대 쪽에서는 합의 절차와 합의 내용인 안심번호 공천제에 대해서도 강하게 반발했다. 무엇보다 청와대 '관계자'가 김무성 대표의 합의에 대해 조목조목 비판하면서 갈등을 격화시켰다.

    공천제 자체에 대해서는 당내 특별기구를 만들어 오픈프라이머리의 대안을 마련하기로 정리되었지만, 갈등의 배후였던 김무성 대표와 청와대·친박의 갈등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김무성 대표도 이전처럼 대통령을 위한 양보만을 하기가 어려운 정치일정이다. 안심번호 공천제를 혁신안으로 채택했던 새정치민주연합에서도 사실상 완전한 합의를 이뤄내지는 못하고 있다. 여론조사 방식의 경선이라는 점에서 문제삼기도 하고, 비주류의 일부에서는 안심번호 경선도 사실상 논란이 됐던 모바일 투표와 크게 다를 바 없다고 비판하고 있다.

    총선 후보 공천 방식을 매개로 불거진 당내 권력투쟁은 여야 모두 더 격화될 수밖에 없어 보인다. 다만 이런 권력투쟁과 갈등의 정치가 한국 정치의 발전적 재편의 계기가 되기를 바랄 뿐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