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신경숙이 직접 나서지 않으면 조현아 꼴 날 것 같다"



책/학술

    "신경숙이 직접 나서지 않으면 조현아 꼴 날 것 같다"

    한기호 소장 "韓 문학, 적당이 넘어가려다가는 더욱 추락할 수밖에"

    작가 신경숙 씨. (출판사 창비 홈페이지 캡처)

     

    작가 신경숙 씨의 표절 의혹 논란에 대해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한기호 소장이 "신경숙이 직접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소장은 18일 오전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블로그에 '신경숙 표절 사태를 해결하려면'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그는 지난 2002년 본인이 펴낸 <주례사비평을 넘어서="">에 실린 문학평론가 김명인의 글 '신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에 일부 구절을 먼저 소개했다.

    이 글에도 신 씨의 표절 혹은 표절 혐의가 다른 이의 말을 빌려 언급돼 있다. 한 소장은 신 씨의 표절 문제는 적어도 2000년대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논란이 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근 다시 제기된 신 씨의 표절 의혹에 대해 "작가 이응준의 지적은 충분히 논란거리가 될 만하다. 내가 보아도 깜짝 놀랐다"며 "누가 보아도 작가의 기발한 상상력의 소산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또한 신 씨를 옹호한 출판사 창비에 대해서는 "괜히 어설프게 나서서 논란만 키운 것 같다"며 안타까워했다.

    그는 "부분적인 실수보다 전체를 보아야 한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창비 측의) 곤혹한 입장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편집자로서 할 수 있는 말은 아닌 것 같다"며 "설사 변호사들이 법적인 문제는 없다고 말한다 하더라도 이것은 법의 차원을 넘어서는 문제다. 누가 보아도 표절한 것처럼 보이는데 어설프게 옹호한다고 문제가 해결될 리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이제 이 문제를 해결할 이는 신경숙 본인뿐이다. 본인이 나서서 충분히 해명을 하던지 사과를 해야 마땅할 것 같다. 그렇지 않으면 ‘땅콩회항’의 조현아 꼴이 날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 소장은 이번 논란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한국문학에 대해서도 염려했다.{RELNEWS:right}

    "2002년 <주례사비평을 넘어서="">가 나왔을 때 이 문제(표절 의혹)를 제대로 털어냈으면 지금의 논란은 없었을 것"이라며, "더구나 세상은 이미 이른바 ‘순(본격)문학’이라는 것을 외면하는 마당에, 이 문제를 적당이 뭉개고 넘어가려 했다가는 더욱 추락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또 "글을 써보고 책을 펴내보아서 부분적인 논란을 뛰어넘어 전체적인 시각을 갖는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 수 있는 사람들은 침묵을 지킬 것이니 이 사태에 대해서는 앞으로 비판의 물결만 대세를 이룰 것"이라며, 때문에 "신경숙 작가가 직접 나서서 사태를 수습하는 일만 남은 것 같다. 그것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은 것 같다"고 신 씨를 독려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