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국회의원 총선 나선 신인, 출발선부터 불리하다



부산

    국회의원 총선 나선 신인, 출발선부터 불리하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여야 정당이 도입을 추진중인 상향식 공천제,즉 오픈 프라이머리가 밑바닥에서 형평성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현역 의원과 단체장은 갖가지 수단으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으나 정치 신인들에게는 사실상의 '장벽'으로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여야 정당은 총선을 앞두고 앞다퉈 도입을 추진중인 상향식 공천제가 국민과 주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주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주민여론을 공천때부터 반영,될성부른 후보를 뽑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적게는 4년에서 많게는 10년이상 국회의원 활동을 한 현역 의원과 단체장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구조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현역의원과 단체장은 오랜기간 중앙정치무대에서 자신을 알리거나 지역주민과 직접 접촉하며 인지도를 높여 왔기 때문.

    특히, 현역의원의 경우 사무실은 물론 조직을 가동하고 의정보고회와 민원해결,예산확보 등 득표와 연결되는 확실한 수단을 활용하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단체장 역시 현역의원 못지않는 수단을 활용할 수 있는 등 사실상 상향식공천제의 최대 수혜자가 될 수 있다.

    반면에 시의원과 의사, 변호사, 그리고 처음 국회의원에 도전하는 정치신인들은 출발부터 불리한 조건에서 시작하고 있다.

    선거사무소는 물론 명함도 돌릴 수 없고,심지어 출마여부에 대한 의지도 피력할 수 없는 상황이다.

    부산지역에서 새누리당 공천 경쟁을 준비중인 한 예비주자는 "상향식공천제는 현역의원과 단체장 등 기존에 지역에 알려진 사람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구조"라며 "정치신인들에게도 자신의 인지도를 제고할 수 있는 길을 터 주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여,야 정당이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려면 사실상 '정치적 약자'인 신인들을 적극 배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밑바닥에서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사전 선거운동이 가능하도록 선거법을 개정하는 등 현역 의원과 단체장 등과 동일한 선상에서 출발 할 수 있는 조건부터 먼저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