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대기업 사외이사 연봉 5천만원에 '거수기 역할' 충실



기업/산업

    대기업 사외이사 연봉 5천만원에 '거수기 역할' 충실

    CEO 스코어 조사, 이사회 안건 99.7% 찬성

    (사진=이미지비트)

     

    대기업 사외이사들이 거수기 역할에 충실하다는 사실이 통계결과로 더욱 분명해졌다.

    CEO스코어가 오는 13일 정기주주총회를 앞두고 대기업그룹 사외이사들의 의결권 행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상정된 이사회 안건에 대해 99.7%의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나타났다.

    재벌 총수나 대주주의 전횡과 부조리를 견제·감시하기 위해 도입된 사외이사제도가 거꾸로 경영진을 보호하고 돕는 거수기 역할로 전락했음을 입증한 것이다.

    10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49개 상호출자제한 37개 그룹 167개사의 사외이사 활동내역을 조사한 결과 총 692명의 사외이사들이 3천774건의 안건에 대해 총 1만3천284표의 의결권을 행사했으며, 이중 99.7%인 1만3천243표가 찬성한 것으로 집계됐다.

    찬성이 아닌 41표 중 반대는 13표로 의결권 1천 개 중 1개꼴이었고 나머지 28표는 유보, 보류, 기타 등으로 찬성과 반대 의사를 밝히지 않은 표였다.

     

    조사대상 37개 그룹 중 찬성률 100%를 기록한 곳도 68%인 25곳에나 달했으며 10대 그룹 이외의 기업집단일수록 사외이사들이 100% 찬성표를 던진 곳이 많았다.

    10대 그룹 중에서 100% 찬성률을 보인 곳은 롯데, 포스코, 현대중공업, 한진 등 4곳(40%)이었지만, 10대 그룹 이하 중견그룹일수록 100% 찬성 비중이 70%대에 달했다.

    롯데는 43명의 사외이사가 278건의 안건에 대해 1천130표의 의결권을 행사했고, 찬성률은 100%였으며 포스코와 현대중공업 역시 각각 24명과 4명의 사외이사들이 423표와 43표를 던졌는데 모두 찬성이었다.

    삼성은 74명의 사외이사들이 1천536건의 의결권을 행사했고, 반대표는 없었지만 참관이 2건 있어 찬성률이 99.9%를 기록했다.

    조성호 홍익대 교수는 "재벌 총수가 어떻게든 사외이사로 선임했는데 그들 입맛에 맞출 수 밖에 없지 제 목소리를 낼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면서 사외이사 선임 절차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한편, 대기업 그룹 사외이사들의 지난해 평균 연봉은 4천900만원으로 이사회에 한차례 참석할 때마다 평균 450만원씩 받는 셈이었다.

    평균 연봉은 삼성이 7천5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KCC도 7천만원을 웃돌았으며 에쓰오일(6천900만원), 현대차(6천800만원), 아모레퍼시픽(6천300만원) 순이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