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세수부족으로 작년 4분기 성장률 0.4%…9분기만에 최저(종합)



기업/산업

    세수부족으로 작년 4분기 성장률 0.4%…9분기만에 최저(종합)

    작년 연간 성장률 3.3%

    (사진=이미지비트 제공/자료사진)

     

    지난해 세수부족과 수출부진 등으로 4분기 경제성장률이 0.4%로 추락했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3.3% 성장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보다 0.4%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2012년 3분기(0.4%) 이후 9분기만에 최저 수준으로 주저앉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 2.7% 성장에 그쳐 2013년 2분기 2.7% 이후 최저였다.

    지난해 1분기 0.9%로 출발한 분기별 성장률은 2분기에 세월호 참사의 여파로 0.5%로 내려앉은 뒤 3분기 0.9%를 회복했으나 4분기에 0.4%로 추락한 것.

    한은은 당초 1%로 전망했던 4분기 성장률이 0.4%로 떨어진 것은 수출과 내수가 부진한데다 세수부족으로 4분기 재정지출이 축소됐고, 윤달에 따른 결혼시장 위축 등의 일시적 요인이 겹쳤다고 분석했다.

    실제 건설업은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감소 등으로 전분기보다 3.3% 줄었다. 또 단통법의 영향으로 휴대폰 판매가 감소하면서 서비스업 가운데 정보통신도 0.4%감소했다.

    제조업(-0.3%)도 비교적 큰 폭으로 줄며 2분기 연속 감소했다. 제조업이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부문별로는 건설투자가 9.2%, 수출은 0.3% 줄었다. 수출은 글로벌금융위기 때인 2009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전분기(-2.2%)에 이어 2분기 연속 감소했다. 세계경기부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민간소비는 0.5% 증가에 그쳤다.

    다만 설비투자가 증가한 것은 긍정적이다. 전분기 -0.5%에서 5.8% 증가로 돌아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했다.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이 크게 개선되면서 GDP성장률보다 높은 1.4%를 기록했다.

    한편, 지난해 연간 성장률은 전년보다 3.3% 성장했다. 전년의 3.0%보다 소폭 상승하며 3년만에 가장 높았다.

    민간소비(1.7%), 건설투자(1.1%) 및 수출(2.8%)의 증가세는 둔화됐지만 지식재산생산물투자(5.3%)가 견실한 성장을 지속했고, 설비투자(javascript:;5.9%)도 전분기 -1.5%에서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년대비 3.8% 증가했다.

    교역조건이 개선되면서 실질무역 손실 규모(18.8조원 → 13.2조원)가 줄어들면서 GDP성장률을 넘어섰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