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박노자 "한국사회 갑질만 있나? 을질, 병질도 많다"



책/학술

    박노자 "한국사회 갑질만 있나? 을질, 병질도 많다"

    박노자 교수 '비굴의 시대' 출간 기념 대담

    박노자 교수(좌)와 홍세화 씨(우)

     

    "한국사회에 갑질만 있나? 을질, 병질도 많다."

    박노자(42)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가 지난 16일 저서' 비굴의 시대' 출간을 기념해 카톨릭청년회관 다리 대강당에서 연 '박노자-홍세화 대담'에서 한 말이다. 책 '비굴의 시대'에는 타자의 아픔에 공감하지 못하고, 사회적 연대의식이 증발한 한국사회를 비판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박노자 교수는 이날 대담에서 "가장 무서운 비굴은 자신이 받는 억압이나 착취에 맞서지 못하는 게 아니라 자신보다 사회적 서열이 낮은 사람에게 또 다른 착취를 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한국사회는 갑질 뿐아니라 병질, 을질도 존재한다"며 "가령 재벌 3세인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이 저지른 '땅콩 회항' 사건은 분명 갑질이지만 일반 고객도 마트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진상을 부리며 을질을 한다. 문제는 층층이 쌓인 억압의 구조인지라 을질을 당하는 비정규직 노동자조차 알바 같은 더 하급 노동자에게 병질을 한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자신보다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을 가중차별하면 자신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개선된 것 같은 착각이 들기도 한다. 이러한 착각은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치는 각자도생 사회에서 빠지기 쉬운 비굴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그는 갈수록 높아지는 노동시장 진입 장벽 때문에 사회적 연대가 절실한 대학생 간에도 "자신이 차별당하는 만큼 자신보다 아래 있는 사람을 차별하는" 비굴이 존재한다고 안타까워했다. "서울,수도권 대학생이 지방 대학생을 멸시하고, 또 같은 서울,수도권 대학생 사이에서도 서울 캠퍼스와 지방 캠퍼스를 구분하는 모습을 본다."

    박 교수는 또 "최악의 착취구조에 놓인" 텔레마케터와 노르웨이 저가항공사에 고용된 저임금 외국인 계약직 노동자에 대한 자신의 무관심을 예로 들며 "본인도 은연 중 갑질을 행한다"고 했다.

    "텔레마케터의 전화를 받았을 때 짜증나는 기분을 드러내며 응답한 경우가 있다. 당시 나는 할당량을 못 채우면 월급을 못 받는 그들의 입장보다는 내 사생활만 생각한 거다. 내가 그 상품을 사지 않더라도 그들을 타자가 아닌 나와 같은 인간으로 보지 못했던 것 같아 부끄럽다. 또 다른 예로 노르웨이의 저가항공사는 외국인 계약직 사원을 많이 고용한다. 이들에게 월급을 줄 때는 노르웨이가 아닌 출신 국가를 기준으로 삼는데, 이는 한국에서 중국인을 고용하고 중국 물가에 기반해 월급을 주는 것과 똑같다. 하지만 저가항공을 이용할 때 항공사 측의 행동이 비도덕적이라는 생각은 별로 안 했다."

    그는 "내가 그들을 인격적으로 모독하지 않았다고 해도 그들이 당하는 착취를 모른 척했다면 묵시적으로 깁질을 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박 교수는 "나만 잘 살면 된다는 생각은 최악의 자기기만이자 또 다른 비굴이다"며 "비굴의 시대에 맞서려면 타자와의 연대가 필수적이다. 그렇게 하려면 어릴 때부터 연대감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비굴의 시대의 불씨인 진보정당을 사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