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서울 주택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 64%…사상 최고



부동산

    서울 주택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 64%…사상 최고

    • 2014-08-11 14:11

    "외국인 부동산 투자 유치 활성화해야"

     

    올해 2분기에 서울의 주택 매매가격이 2% 가까운 하락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세가격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조만 실물자산연구팀장과 송인호 거시경제연구부 연구위원은 11일 2분기 부동산시장 동향 분석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2분기 서울의 실질 주택매매 가격은 1년 전보다 1.8% 하락, 전국의 주택매매 가격 등락률(-0.2%)과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서울의 주택 매매가 하락률은 지난해 3분기 -4.0%를 저점으로, 4분기 -2.4%, 올해 1분기 -1.7% 등으로 작아지다가 다시 한번 커진 것이다.

    강북 지역의 주택 가격 하락률은 -1.9%로 강남 지역의 -1.6%보다 컸다.

    서울의 주택매매 가격은 직전 분기에 비해서도 0.6% 하락했다.

    경기와 인천 지역 역시 1년 전보다 매매 가격이 각각 1.2%와 1.6% 하락했다. 다만 전 분기보다는 0.6%, 1.4%씩 올라 서울 지역과는 온도차를 보였다.

    대구는 1년전보다 7.4% 올라 유독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대구와 울산, 광주 등 지역은 공급 과잉이 해소되면서 가격이 오르는 추세다.

    실질 주택 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 1년 전보다 4.4% 올랐다. 경기가 6.8%, 대구 6.4%, 서울은 5.8% 상승했다.

    매매 가격은 하락하는 가운데 전세가격은 오르면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68.8%이고, 서울은 64.0%, 경기는 67.1%를 기록했다.

    장기 평균과 비교해보면 서울과 경기 지역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각각 13.2%포인트와 16.6%포인트 상승, 전국의 8.7%포인트와 역시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특히 서울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은 2009년 1월 38.2%와 배 가까운 격차를 보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2분기 전국 주택매매 거래량은 24만6천125건으로 1년전보다 17.8% 감소했고 장기평균보다는 11.0% 증가했다.

    서울의 주택매매 거래량은 3만1천679건으로 장기평균인 3만4천477건에 못 미쳤다.{RELNEWS:right}

    전국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분기 말 기준 422조1천억원으로 은행권에서 직전 분기 대비 2.4%(연율화) 증가했고 비은행 예금기관에서 9.2% 급증했다.

    평균 대출금리는 3.63%로 2011년 이후 하향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KDI는 한국의 부동산 투자이민 제도를 홍콩·싱가포르와 비교하면서 적극적인 투자 유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외국인의 제주도 부동산 투자는 2012년 9월 284건(1천944억원)에서 2013년 12월 562건(3천715억원)으로 급증했다.

    이와 관련, KDI는 중국인에 대한 비자 면제 등 규제 완화 정책이 부동산투자이민제도와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 앞으로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입지 경쟁력 분석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투자 유치 방안을 내놔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