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민주, 지방선거 경선룰 가닥…계파별 물밑 행보중



국회/정당

    민주, 지방선거 경선룰 가닥…계파별 물밑 행보중

     

    민주당이 내년 6월 지방선거 당내 경선에서 모바일 투표를 전면 폐지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향후 연말 정국을 지나 본격적인 지방선거 국면으로 돌입하면 당내 계파갈등 및 권력 재편이 가시화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지난 16일 국회에서 비공개 최고위원회를 열어 내년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경선시 '당원 투표 50%, 국민여론조사 50%' 방식으로 선출토록 하는 경선안을 채택했다.

    당 상향식공천제도 혁신위원장인 조경태 최고위원은 17일 CBS와의 통화에서 "선거인단을 모집하는 모바일 투표는 (지난 총선과 대선에서) 부작용이 많아 폐지하기로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 최고위원은 "당대표와 대통령 후보에 대한 룰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컷오프(예비경선)를 없애자는 부분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민주당은 이르면 이번 주 의원총회를 열어 의견수렴을 한 뒤 최고위 의결과 당무위 보고 등을 거쳐 이번 경선안을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민주당 당직자는 "내년 지방선거까지 시간이 빠듯한 만큼 이번 달 내로 당무위에서 경선안을 최종 확정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연말 정국은 내년도 예산안과 국가정보원 개혁 문제로 안갯속이지만 지방선거를 겨냥한 당내 계파별 행보는 점점 가팔라지고 있다. 지도부를 흔들 만한 '메가톤급' 계파 갈등이 재연될지도 관심이다.

    당장, 민주당 문재인 의원을 필두로 한 친노 세력은 대선 회고록 북콘서트와 노무현재단 송년행사에 대거 집결하며 세(勢)과시를 하고 있다.

    친노 세력의 원로격인 이해찬·한명숙 전 총리는 칩거하거나 현안에 침묵하고 있지만,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 출신 의원들은 수시로 회동하며 정국을 구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 의원은 한편으론 '친노 프레임'에 걸려드는 것을 경계하며 민생 행보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그는 전날 서울시청 광장에 마련된 밀양 송전탑 주민의 분향소를 방문하는 등 대선 주자급 민생 행보를 본격화했다.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였던 손학규 상임고문도 지방선거 야권연대를 공개적으로 비판함으로써 정치활동 재개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주군'이 정치 전면에 나섬에 따라 '친손(孫)계' 전·현직 의원들도 공세적으로 기자들과 접촉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고(故) 김근태 상임고문을 따르는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도 매주 화요일 정례회의를 통해 현안을 논의하는 중이다.

    국가기관 대선개입 등과 관련해 민주당 지도부의 온건한 태도에 불만이 누적된 상태라 연말 정국이 꼬일 경우 지도부 책임론을 들고 나올 가능성도 있다.

    지난 3월 해체 선언을 한 '486' 출신 의원들도 연말 정국을 주시하고 있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연말 정국에서 여당에게 밀릴 경우 재조직을 통해 정치 전면에 나설 수도 있다.

    이밖에도 당내 강경파인 시민사회 출신 초선 의원들의 움직임도 주목할 만하다. 이들은 올 들어 지도부에 가장 강경한 목소리를 냈지만 친노와는 성향이 다르다는 점에서 독자적인 노선을 걷는 듯 보인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