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국정원 국조 증인에 전·현직 의원 오르내리다 불발



국회/정당

    국정원 국조 증인에 전·현직 의원 오르내리다 불발

    여야 간사에 위임하기로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 신기남 위원장(왼쪽) 새누리당 권성동 간사가 29일 오후 특위 전체회의가 끝나고 악수를 나누고 있다. 황진환기자

     

    여야가 29일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 국정조사의 증인 채택을 놓고 막판 절충에 들어갔지만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여야 간사에게 위임한다는 게 이날 특위 전체회의 결정일 뿐이다.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과 민주당 정청래 의원의 공개석상 발언은 엇갈렸다.

    국정원 기관보고를 사실상 비공개로 진행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에 증인 채택 부분도 접점을 찾지 않았겠냐는 관측이 우세했지만 최종 결론을 내리지 못하자 민주당 측은 유감을 표명하기도 했다.

    권성동 의원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에 대한 증인 채택의 전제 조건으로 민주당 김현, 진선미 의원, 김부겸 전 의원 등도 명단에 이름을 올려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권성동 의원은 특위 전체회의에서 “민주당이 현역 의원의 증인 채택에 동의하지 않아서 오늘 이 자리까지 증인 채택이 안됐다”며 “그걸 받아들이면 원세훈 전 원장과 김용판 전 청장에 대한 증인 채택도 수용 가능하다”고 말했다.

    국정조사 범위였던 국정원의 대선 개입과 경찰의 수사결과 축소·은폐 발표와 함께 이른바 국정원 여직원의 인권유린 논란과 매관매직설은 “병렬적으로 구성돼있다”며 “모두 일괄로 타결하자”고도 했다.

    권성동 의원은 그러면서도 경찰의 수사결과 축소·은폐를 사전에 알고 있었을 것으로 의심되는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도 증인으로 채택하자는 민주당의 요구에 대해 “막연한 추측”이라고 일축했다.

    권성동 의원은 “국회에 증인으로 나오는 것 자체가 당사자에겐 치욕이고 굴욕”이라며 “아무런 자료 없이 그런 개연성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수용할 수는 없다”고 못박았다.

    '원세훈·김용판 증인 채택'이라는 카드를 선뜻 수용하지 않으면서 민주당을 압박하고 있는 모양새다.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 새누리당 권성동 간사(오른쪽)와 민주당 정청래 간사가 29일 오후 특위 전체회의가 끝나고 악수를 나눈 뒤 헤어지고 있다. 황진환기자

     

    반면, 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18+2 증인’ 채택부터 하자는 입장이다. 여야가 사전에 교환했던 명단에서 교집합이었던 18명과 원세훈 전 원장과 김용판 전 청장을 지칭한다.

    야당의 전현직 의원을 국정조사에 증언대에 세울지는 '협상의 기술'로 풀되 이견이 없는 증인들은 우선 결론을 짓자는 것이다.

    정청래 의원은 그러나 권성동 의원의 발언이 있자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대사도 (증인 명단에) 포함돼야 한다”면서 지난 기관보고 당시 불출석한 “남재준 국정원장도 고발해야한다”고 한발 더 나갔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