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최초로 5.18 사망자에 대한 중립적·종합적인 DB 구축



광주

    최초로 5.18 사망자에 대한 중립적·종합적인 DB 구축

    ''GIS로 그리는 5.18 사망자 지도'' 특별기획 6편

    44

     

    광주 CBS는 5.18 민주화운동 33주년을 맞아 5.18 사망자 165명을 지도로 표현한 ''GIS로 그리는 5.18 사망자 지도'' 특별기획을 마련했다.

    ''GIS로 그리는 5.18 사망자 지도''는 1980년 5.18 당시 사망자 165명의 GIS(지리정보시스템) 지도를 통해 5.18 당시 사망자들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사망했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게 된다.

    이번 기획은 광주CBS와 5.18 기념재단, 광주 광산구가 공동으로 추진했으며, GIS 전문업체인 GIS 유나이티드가 재능기부 차원에서 무상으로 GIS 지도를 제공했다.

    한편 5.18 사망자 GIS 지도는 국내에서는 상용화되지 않은 웹 기반 지도여서 ''인터넷 익스플로러 10.0''과 ''구글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등의 웹 브라우저에서만 구동되는 한계가 있다.

    다만, 스마트폰과 아이패드, 갤럭시 탭에서는 자유자재로 5.18 사망자 지도를 구동할 수 있다.
    (☞ 5.18 민주화운동 사망자 GIS 지도 페이지 바로가기(http://www.nocutnews.co.kr/evt/1980518/)) [편집자 주]


    11

     

    ''GIS로 그리는 5.18 사망자 지도'' 특별기획은 전국 최초로 5.18 공식 사망자 165명에 대한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데이터 베이스(DB)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5.18 사망자와 관련해 정부는 광주지검의 ''5.18 관련 사망자 검시조서''를 토대로 5.18 공식 사망자 수를 165명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5.18 민주유공자유족회와 5.18 기념재단을 비롯한 5월 단체들은 계엄군의 암매장 등을 고려할 때 5.18 사망자 수가 공식 발표된 165명 이상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5.18 사망자 수와 별개로 5.18 사망자 정보와 관련해 사망일시와 사망장소, 사망원인 등에 대해 기관별, 자료별로 상이한 점이 많아 혼선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주소와 나이, 직업 등의 기본적인 인적사항은 물론이고 자료마다 사망일시와 사망장소가 다른 경우가 허다하고, 사망원인에 대해서도 총상이나 타박사 등으로 정보가 상이한 경우가 적지 않다.

    22

     

    실례로 5.18 사망자 중 검시번호 57번 유영선의 경우 80년 5월 27일 새벽 도청 진압작전 과정에서 광주YWCA 앞에서 총상을 입고 사망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그러나 5.18 민주유공자유족회 정수만 전 회장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유씨는 5월 21일 광주YWCA 앞에서 총상을 입고 광주기독병원에 실려가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광주기독병원 진료기록에 따르면 유씨는 21일 오후 3시쯤 총상을 입고 광주기독병원에 실려와 23일 병원에서 사망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정부의 공식 자료인 검찰의 5.18 사망자 검시조서와 국방부가 5.18 국회 청문회에 제출한 자료 간에도 사실관계가 다른 점이 적지 않을 정도로 5.18 사망자 자료가 부실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5.18이 발생한지 33년이 지났을 뿐인데 성명마저 미상인 5.18 사망자가 9명에 이를 정도로 5.18 사망자에 대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자료가 없었던 게 사실이다.

    이는 80년 5.18 이후 집권한 신군부가 5.18의 진상규명에 나서기는커녕 5.18 가담자를 폭도로 몰고 5.18의 진실을 왜곡하고 은폐하는 데 앞장섰던 것과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이에 광주CBS는 5.18 사망자 GIS 지도 제작에 앞서 5.18 사망자 165명의 성명과 연령, 직업, 주소, 사망일자, 사망장소, 사망원인, 검시장소 등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DB) 구축작업에 나섰다.

    검찰이 작성한 ''5.18 사망자 검시조서''를 기초로 5.18 기념재단과 광주시 5.18 기념문화센터 등이 보유한 각종 자료 그리고 5.18 유족회 정수만 회장이 개인 소장하고 있는 자료를 비교 검토해 5.18 사망자 DB를 구축했다.

    33

     

    이 과정에서 ''광주사태 사망자 검시 결과(기무사)''와 ''광주사태 추가 신고자 확인 결과(사망자, 행불자, 간접피해자)(기무사)'', ''광주사태 관련 사망자 명단(국방부)'', ''5.18 관련 사망자 부상자 검시보고 관계철(특전사)'' 등의 군 관련 자료를 참고했다.

    또 ''광주사태 사망자 현황(변사 검시 보고서, 사망일자)(광주지방검찰청)''과 ''81년 광주통계연보 중 80년 6월 사망자수 통계자료에 대한 내사결과(광주지방검찰청)'', ''5.18 보상 결정서(광주광역시 5.18 지원협력관실)'' 등도 검토했다.

    5.18 기념재단 주정립 진실조사실장은 "5.18 사망자에 대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광주CBS의 5.18 사망자 DB 구축이 5.18 관련 자료를 정리하고 체계화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5.18 사망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식인 보다는 기능공과 운전기사, 노동자 등의 이른바 기층민중이 5.18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는 사실이 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됐다.

    5.18 사망자 165명의 직업을 분석한 결과 학생이 30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기능공과 노동자, 운전기사, 종업원, 이용사 등 기층 민중으로 분류할 수 있는 직업군이 88명으로 절반이 넘는 53.3%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가 75명으로 전체의 절반 가량을 차지했고, 10대 38명, 30대 27명, 40대 10명 순으로 나타났는데, 5.18에 적극 가담했던 고등학생 피해자 때문에 10대 사망자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성별로는 남성이 152명으로 전체의 92.1%를 차지했고, 여성은 13명이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사망일자(사망일자는 실제 사망일자가 아닌 사망에 이르게 된 원인행위가 발생한 날짜이다)로 보면 도청 앞 집단발포가 발생했던 5월 21일이 6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5월 22일 26명, 도청 진압작전이 이뤄진 27일 24명 순서였고, 23일 21명, 20일 13명, 24일 11명으로 나타났다.

    사망원인별로 살펴보면 계엄군이 사용했던 M16 사망자가 1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카빈이 27명, 타박상이 14명, 차량사와 자상이 각각 13명과 6명으로 분석됐다. [BestNocut_R]

    5.18 사망자의 주소별로 분석한 결과 전남도청이 위치했던 동구가 40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이 38명, 북구 29명, 남구 27명, 서구 17명 순으로 나타났다.

    5.18 사망자에 대한 데이터 분석은 통계 분석도구인 SPSS 19.0으로 이뤄졌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