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부산, 가덕 신공항 타당성·조기건설 압박



부산

    부산, 가덕 신공항 타당성·조기건설 압박

    김해공항 2022년 완전 포화

     

    정부가 동남권 신공항 관련 항공수요조사 예산조차 확보하지 못하는 등 소극적으로 일관하자 부산시와 상공계, 정치권, 시민단체가 신공항 항공수요조사와 조기 건설을 촉구하는 공동 토론회를 열어 정부를 압박했다.

    부산상공회의소와 부산시, 새누리당 부산시당 신공항건설 태스크포스팀은 3일 오후 상의홀에서 김해공항 문제 해결과 신공항 조기 건설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는 허남식 부산시장과 조성제 부산상의 회장, 새누리당 이진복 부산시당위원장, 김정훈 정무위원장, 이헌승 의원, 각계 전문가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김정훈 정무위원장은 "국토교통부가 대통령 업무보고 때 전국 항공수요조사 예산이 편성돼 있다고 보고를 했음에도 이 돈이 제주공항 항공수요조사 비용으로 밝혀진 것은 대통령을 속이고 부산시민도 속인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항공수요조사 예산을 추경에서 별도로 배정하려 하고 있다"며 "부산시민이 일치단결해 정부에 대해 가덕 신공항 건설을 논리적으로 주장하고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인호 김해공항 가덕 이전 범시민운동본부 공동대표는 "박근혜 대통령과의 면담을 요청하고 신공항에 대한 조기 결단을 촉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치국 부산발전연구원 연구지원실장은 "김해공항은 최근 3년간 국제선 연평균 승객 증가율이 20.3%로 이미 기존 공항 시설로서는 포화상태에 달했다"며 "시설을 확충한다고 해도 2022년에는 완전 포화상태에 도달해 김해공항 시설 확장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최성호 항공대 교수는 "국토균형발전과 수도권 집중 완화를 위한 정책적 고려 차원에서 신공항 건설은 필요하며, 공항 건설 기간을 감안하면 신공항 조기건설 추진을 촉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항공수요조사와 가덕도 신공항 타당성 조사를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부산상의는 토론회에서 제기된 다양한 정책적 제안을 김해공항 가덕이전 사업에 반영해 신공항 조기 건설을 위한 정부의 정책의지를 이끌어 낸다는 계획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