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가장 많은 신혼부부 유형은 '딩크족'…10쌍 중 3쌍



경제정책

    가장 많은 신혼부부 유형은 '딩크족'…10쌍 중 3쌍

    2015년 18%이던 초혼 신혼부부 딩크족 7년새 28.7%로
    같은 기간 외벌이 유자녀부부 비중 34.7%에서 22.7%로 감소
    첫 아이 낳는 시기 늦춰지고 소득 높을 수록 자녀 수 줄어들어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초혼 신혼부부 10쌍 중 3쌍은 자녀 없이 맞벌이를 하는 '딩크족'(Double Income No Kids)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의 '2022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의하면 지난해 기준 혼인신고 후 5년이 지나지 않은 초혼인 신혼부부 81만5357쌍 중 맞벌이를 하면서 자녀가 없는 부부는 23만4066쌍으로 28.7%를 차지했다.
     
    무자녀 맞벌이 신혼부부는 맞벌이이면서 유자녀인 23만2459쌍(28.5%)을 앞서며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외벌이이면서 유자녀인 부부가 18만5155쌍으로 22.7%, 외벌이이면서 무자녀인 부부가 12만6531쌍으로 15.5%를 차지했다.
     
    초혼 신혼부부 딩크족은 2015년에는 21만2733쌍으로 18.0%의 비중을 보이며 외벌이 유자녀 부부 40만9014쌍(34.7%)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하지만 2018년 21.7%, 2020년 25.8% 등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으며, 지난해에는 최초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이 됐다.
     
    반면 외벌이 유자녀 부부는 2018년 30.0%, 2020년 26.2% 등 비중이 지속적으로 줄어들었다.
     
    이같은 현상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상승과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의 한국의 사회동향 2023 보고서에 의하면 2015년 27.7%이던 20~30대의 무자녀에 대한 긍정 인식은 2020년에는 44.1%로 늘어났다.
     
    초산 시기도 늦춰지고 있다.
     
    첫 아이를 결혼생활 5년 이후에 낳은 부부의 비중은 2012년 5.3%에서 지난해 11.5%로 10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신혼부부의 자녀수는 소득이 높을 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소득 구간별 평균 자녀수는 연 소득 1천만원 미만이 0.77명으로 가장 많았고, 1천만~3천만원은 0.71명, 3천만~5천만원은 0.72명, 5천만~7천만원은 0.66명, 7천만~1억원은 0.55명, 1억원 이상은 0.57명이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