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방사선 피폭'에 노출된 환자들…기기 불량은 치명적



보건/의료

    '방사선 피폭'에 노출된 환자들…기기 불량은 치명적

    (사진=자료사진)

     

    최근 건강검진 한 번으로 최대 일상생활 속에서의 11년치 방사선량을 쐴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논란이 일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CT(컴퓨터 단층촬영장치)나 PET-CT(양전자방출 컴퓨터 단층촬영장치), 혈관조영장치, 유방촬영기와 같은 진단용 방사선 기기 스무대 중 한 대 꼴로 이상이 있고 방사선 관계 종사자들에 대한 관리 부실로 환자들이 과다 피폭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2014년의 경우 전체 검사대상 방사선 기기 3만 432대 중 5%인 1525대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부적합률은 지난 2012년 2.8%에 비해 두배 가까이 높아졌다.

    방사선 기기 검사는 보건소를 통해 3년 주기로 이뤄지는데, 부적합 기기를 통해 검사를 받은 환자들은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부적합 기기로 판명되면 사용이 금지되고, 재검사를 받아 적합 판정을 받은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국내 방사선 기기는 총 7만 8천대에 이른다.

    더욱이 방사선 관계 종사자들에 대한 철저한 교육이 이뤄져야 하지만 실상은 딴판이다.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 방사선과 전문의, 방사선사는 물론 각종 진단용 방사선 기기를 다루는 치과 의사, 치과위생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을 말한다.

    방사선 관계 종사자들은 소속 의료기관마다 1명씩 지정된 진단용 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로부터 자체 교육을 받는 게 고작이다.

    안전관리책임자들 역시 책임자로 선임된 지 1년 내에 '한국방사선의학재단'에서 3시간 30분짜리 교육을 한 번만 받으면 그것으로 끝이다.

    방사선 종사자에 대한 부실한 교육은 고스란히 환자들의 피해로 이어진다.

    방사선 촬영 때는 필요 최소량만 피폭되도록 하는 등 경각심을 갖고 환자보호에 최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만 자칫 소홀해질 수 있다.

    이처럼 방사선 관계자에 대한 교육이 부실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은 관련단체의 반대에 부딪쳐 법령 개정 작업이 번번히 무산됐기 때문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일부 관련단체에서는 '방사선에 대한 내용이 매번 바뀌느냐. 한 두번 교육 받으면 되지 정기적으로 받을 필요가 있느냐'라고 주장한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는 병의원에 방사선 기기 관리를 보다 철저히 하도록 지도하는 한편,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안전관리규칙' 개정작업을 서두르기로 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