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나 지방大 싫어, 수도권大 할래" (下)



사회 일반

    "나 지방大 싫어, 수도권大 할래" (下)

    • 2013-07-22 06:00

    대학 떠나니 지역경제 반 토막…홍성군민들의 눈물
    허무한 정부의 국토균형발전론

    지방대들의 수도권 진출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수도권정비계획법,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에 의해 지방대의 수도권 진출 길이 열렸기 때문이다. 수도권으로 떠나가는 대학과 붙드는 지역 주민들의 갈등도 만만치 않다. CBS노컷뉴스는 지방대의 수도권 이전 문제에 대해 2편에 걸쳐 집중 보도한다.[편집자주]
    청운대 이전에 반대하는 홍성군민들은 7월 초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상경투쟁을 벌였다.(청운대 이전반대 대책위원회 제공)

     

    “놔라, 살날도 얼마 안 남았는데 그냥 콱 농약 먹고 죽을란다”

    팔십 노모는 직장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내려온 막내아들과 함께 대학가에 원룸을 차렸다.

    그러나 현재 방 14개 중 8개가 텅텅 비어있다. 그나마도 방이 안 나가 월세를 반으로 낮춰받고 있다. 은행 대출금 원금은커녕 이자도 못 갚을 지경에 처했다.

    노모는 틈만 나면 농약병을 들었다. “이럴 바엔 확 죽어 버리겠다”고 역정을 냈다. 마을 사람들은 그럴 때마다 할머니를 말리느라 진땀을 뺐다.

    막내아들은 술만 마셔댔다. 술만 취하면 홧김에 주변 경찰서를 찾아가서 따지고 들었다. “내가 뭘 잘못했느냐?” 술에 취에 난동을 부리다가 정신병원에서 몇 달을 보내기도 했다.

    ‘홍성의 자랑’인 청운대학교 일부 학과가 올 3월 인천으로 옮겨간 뒤부터 벌어진 모자의 '비극'이다. 학생과 교직원을 포함해 약 2000여명이 홍성을 떠났다.

    ◈지역 경제 반 토막, 그리고 홍성군민들의 눈물

    청운대 근처의 술집에는 일제히 '임대 문의'를 알리는 플랜카드가 내걸렸다.(이준흠 인턴기자)

     

    지난 17일 학생들이 빠져나간 홍성의 대학가는 한산하기 이를 데 없었다. 학생들이 거주해 시끌벅적하던 원룸의 대부분은 ‘빈 방’으로 남았다.

    특히 술집과 노래방 등 유흥시설이 직격탄을 맞았다. 청운대 앞에서 PC방을 운영하는 한 50대 남성은 “손님이 40% 이상 줄었다. 다 인천으로 가버리니 장사가 될 리가 있나”라며 하소연했다. 굳게 문이 닫힌 가게에는 ‘임대문의’라는 네 글자가 붙어있었다.

    주 소비층이었던 청운대 학생과 교직원 2000여명의 유출은 인구 9만이 채 안 되는 홍성 경제에 큰 타격이었다. 돈이 돌지 않자 악순환은 계속됐다.

    홍성 읍내의 최대 번화가인 ‘명동 거리’도 사정은 다르지 않았다. 문구점을 운영하는 50대 남성은 “학생들을 상대로 장사하는 우리 가게는 타격이 굉장히 크다”며 “이전에는 11시까지 문을 열어놓으라고 학생들이 부탁할 정도였다. 하지만 요즘은 9시 반이면 문을 닫는다”고 말했다.

    홍성역에서 손님을 기다리던 택시 기사들은 "손님이 없다"며 울상을 지었다.(이혜진 인턴기자)

     

    학생 유출을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곳은 택시업계였다. 한 택시기사는 “두 시간이면 7~8번을 실어 날랐다. 요새는 손님이 없어 역전에 차만 세워두고 놀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연신 담배를 꺼내 물었다.

    통학비와 주거비, 생활비를 부담스러워 하는 홍성 군민들도 만나볼 수 있었다. 청운대에 재학 중인 아들을 둔 50대 남성은 “아들이 어려운 집안 형편 때문에 지역의 대학으로 진학했다. 그런데 제대로 된 동의 절차와 통보도 없이 갑자기 학교가 이전했다”며 “인천에서의 생활비를 감당하기가 힘들 것 같아 휴학계를 냈다. 이대로 졸업을 시켜야 할지도 의문이다”며 고충을 털어놓았다.

    ◈떠나가는 대학, 헤어지지 못하는 주민

    참다 못한 홍성 군민들이 생업도 팽개치고 거리로 나왔다.(청운대 이전반대 대책위원회 제공)

     

    참다못한 주민들은 거리로 나왔다. ‘청운대 이전 반대 주민 대책위원회’는 지난 2월 청운대 인천캠퍼스를 점거, 이전 무효 투쟁을 벌였다. 지난 3일에는 생업을 팽개치고 상경한 홍성군민들이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앞에 모였다. 상여가 등장했다. '홍성이 죽었다'라는 의미였다.

    이들은 현재 교육과학기술부를 상대로 ‘청운대 이전 취소 소송’을 벌이고 있다. “인구 300만의 인천이 자신들만 살려고 편법으로 홍성을 초토화 시켰다”며 교육부가 인천시에 특혜를 준 것이라고 주장했다.

    충청남도 금산군에 위치한 중부대학교도 내년 고양캠퍼스 개교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자 일부 금산 군민들이 이전 반대 대책위원회를 꾸렸다. 이들도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서도 (지방대의 수도권 이전은) 있어서는 안된다”고 짤라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국토균형발전’ 한 목소리, 그러나…

    박근혜 대통령은 18일 지역발전위원회 첫 회의를 주재하고 '지역희망(HOPE) 프로젝트' 안을 내놓았다. 지자체가 중심이 돼 교육·복지·문화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지역행복생활권’을 도입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지방대 특성화 분야 학생에 대한 전액 장학금 지원, 지방 이전 공공기관에 지방대생 채용 우대 등을 담은 '지방대학 육성법(가칭)'을 발표할 예정이다.

    박수현 공주시의원은 17일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의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반환된 미군기지로 옮겨갈 수 있는 대학을 ‘수도권 내 대학’으로 제한하자는 것이다.

    헌법정신인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지방대학의 수도권 이전은 정책적으로 규제해야한다는 게 개정안의 취지다.

    지방대학이 자생할 수 있는 토대를 정부차원에서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