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대학교수들의 ''불편한 진실''…''취업브로커''가 된 까닭은?



사회 일반

    대학교수들의 ''불편한 진실''…''취업브로커''가 된 까닭은?

    제자 취업에 ''사돈의 팔촌''까지 총동원

    11

     

    요즘 대학들은 목매달고 산다. 4년제든 2년제든 총장이든 교수든 교직원이든 학생들의 취업에 목매달고 산다. 대학의 상아탑은 무너지고 있고, 그 자리를 직업소개소가 대신 채우고 있다.

    이젠 대학 교수들도 가르치고 연구만 해서는 먹고 살기 힘들다. 교수 평가에 제자들의 취업률이 절대적이기 때문.

    우리 사회의 잠재적 가치를 발굴하고, 발전을 견인해야 할 그들이 ''취업 브로커''가 되고 있다.

    CBS 노컷뉴스는 땅에 떨어진 대학 교수들의 현실에 비춰 비뚤어진 정부당국의 대학정책을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 ''취업 브로커''로 전락한 대학교수들의 비애
    ② 대학=''취업소개소'', 교수=''취업알선원''…대학 이대로 좋은가


    지난 연말 경기지역 A대학의 총장 주재 종무식. 별 뜻 없이 참석한 이 자리에서 B모 교수는 생각지도 못할 수모를 당했다.

    "이 자리에는 학교에 기여하는 교수님도 계시지만 도움이 안되는 교수님도 있는 것 같다"는 총장의 말에 B 교수는 의례적인 말이겠거니 한 귀로 흘렸다.

    이어 총장이 교수 한 사람 한 사람을 불러 세워 성과상여금을 전달했다.

    그 순간 B 교수는 ''아차''하는 생각과 함께 얼굴이 발갛게 달아오름을 느꼈다.

    총장이 직접 상여금 봉투를 나눠주면서 "몇 명이나 취업시켰냐며 이 돈 받을 자격이 있냐"고 일일이 면박을 주는 게 아닌가.

    행사가 끝나고 연구실로 돌아온 B 교수는 곧바로 작은 디자인 회사를 경영하고 있는 친인척에게 전화를 걸었다. 취업 청탁을 위해서였다.

    B 교수는 "논문 준비를 해도 모자랄 시간에 학생들을 취업시키기 위해 모든 인맥을 동원 하는 데 시간을 쏟고 있다"며 "더 큰 문제는 교수들이 학교의 압박에 시달려 원하지도 않는 학생들을 취업시키기 위해 제자들에게 목을 매는 ''이상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경기지역 C 대학의 D모 교수는 졸업한 제자들에게 전화를 거는 것조차 영 껄끄럽다.

    취직 자리를 소개하려 하면 처음엔 예의상 전화를 받다가도 나중엔 전화를 아예 받지도 않는다. 때로는 부모가 대신 받아 "시험공부 하는 애를 왜 자꾸 귀찮게 하느냐"며 핀잔을 듣기 일쑤.

    D 교수는 "교수들도 이제 강의와 연구만 열심히 한다고 해서 대접받는 시대는 지났다"며 "교수 업적평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가까운 지인들과 친구들에게 취업을 부탁하는 처지까지 놓여 직업알선 사원이 돼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며 한숨을 내쉈다.

    지방대 교수들의 처지는 더 비참하다. 한 지방대 외국어과 교수는 해외 현지까지 나가서 취업을 알선할 정도로 학교로부터 받는 압박은 상상 이상이다.

    이 대학 한 교수는 "한 스페인어과 교수는 멕시코 자동차 공장이 모여있는 곳으로 현지 출장을 가서 학과 학생들의 취업을 주선하고 있다"며 "(학생들을 취업 시키기 위해) 술 접대까지 해야 하는데, 연구는 언제 하고 수업준비는 언제 하냐"며 냉소를 지었다.

    ◈ 내달 1일 취업률 조사 앞두고…교수들은 취업률 높이기 전쟁중

    내달 1일 실시되는 교육부의 취업률 조사를 앞두고 학교마다 취업률 제고에 비상이 걸렸다.

    교수들은 졸업생을 한 명이라도 더 취업 시키려고 전쟁을 치르고 있다.

    취업률에 울고 웃는 건 더 이상 졸업생만이 아니다. 대학은 각종 정부 재정지원 사업을 비롯해 대학 퇴출에도 직격탄으로 작용하는 ''취업률''의 위엄을 체감하고 있는 것.

    20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해 9월 전국 43개 교를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없는 정부재정지원제한 대학으로 선정·발표했다.

    문제는 이른바 ''부실대학'' 선정을 위한 대학평가에서 취업률이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가변 지표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는 데 있다.

    재정지원제한 대학 선정은 취업률(20%), 재학생충원율(30%), 전임교원확보율(7.5%), 교육비 환원율(7.5%), 등록금 부담완화(10%), 장학금 지급률(10%) 등 10가지 지표를 토대로 상대평가를 적용하고 있다.

    또 10가지 지표 중 취업률, 재학생충원율, 전임교원확보율, 교육비 환원율 등 4가지 지표는 기준을 설정, 절대평가를 통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대학들을 학자금대출제한대학으로 한 번 더 추려낸다.

    대출제한 대학의 경우 4가지 절대지표를 제시하고, 2개 기준 이상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대출제한 대학으로 지정된다.

    4년제의 경우 취업률 50%, 재학생충원율 90%, 전임교원확보율 61%, 교육비환원율 100%가 최소 충족기준으로 적용된다.

    전문대학의 경우 취업률 50%, 재학생충원율 80%, 전임교원확보율 51%, 교육비환원율 95%다.

    33

     

    ◈ 취업률 못 채우면…감봉에, 퇴출 위협까지도

    이처럼 대학 평가의 핵심지표인 취업률이 낮을 경우 ''부실대학''으로 낙인 찍혀 각종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대학들은 교수들을 압박해서라도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교수 평가에서 기존의 업적 외에 취업업적을 포함시키고 이러한 업적평가들을 통해 교수들 월급을 대폭 깎는 대학도 있다.

    지방의 어느 전문대학에서는 할당된 취업률을 채우지 못할 경우 교수의 목을 자르는 경우도 있다.[BestNocut_R]

    정부재정지원제한 대학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서류를 조작해서 자기가 취업시킨 것처럼 꾸미는 일은 교수사회에서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할 정도다.

    대학 교수들이 ''사돈의 팔촌''까지 총동원해 가며, 더 나아가 편법까지 써가며 취업률 높이기에 안간힘을 써야 하는 현실은, 이미 대학가의 ''불편한 진실''로 자리잡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