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주목받는 리빙랩…"종합 관리·현장 독립성 절실"



대전

    주목받는 리빙랩…"종합 관리·현장 독립성 절실"

    리빙랩(Living Lab)을 행정에 접목시키는 시도가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공모 등 자치단체 주도 사업이 대부분으로, 향후 '현장'의 독립성 여부가 주요 관건이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모든 생활이 곧 연구…리빙랩이 뜬다)

    '일상생활 실험실'로 일컬어지는 리빙랩은 공공기관과 기업, 시민사회가 손잡고 특정 공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수요자 스스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수단이자 방식이다.

    최근 들어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 기술이 더해지면서, 보다 정확한 문제 도출과 해결 방안 제시 등 지속가능한 문제해결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IoT를 통해 수집된 빅데이터를 전문가 혹은 지역사회 당사자들이 모여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할 뿐 아니라 더 나아가 관련 제품 생산 등 문제 해결 방식의 보편화까지도 가능하기 때문.

    지난달 31일부터 이틀간 전북 전주에서 열린 '제6차 한국 리빙랩 네트워크 포럼'에서는 전라북도와 제주도가 추진하는 리빙랩 현황과 콘텐츠 창작 과정 속에서의 리빙랩 활용방안 등이 소개됐다.

    (사진=전라북도 콘텐츠 코리아랩 제공)

     

    도농복합의 전북도는 사회적 기업 등과의 연계를 바탕으로 문화컨텐츠형 리빙랩사업과 농생명형 리빙랩사업을 강조했다.

    도시의 경우 ▲스마트 가로등 ▲free 와이파이존 ▲차량 및 주차관리 ▲시설물 관리 인프라 구축 계획을 내놨고 농촌은 ▲농촌 참여 소규모 실험 ▲스마트 농촌 조성 방침을 제시했다.

    더불어 부처간 협력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대형 R&D 기반 리빙랩 사업과 지역 현안을 스스로 발굴하고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도민 체감형 리빙랩 사업의 청사진을 내놓기도 했다.

    제주도의 경우 민간단체인 (사)행복나눔제주공동체가 지난해 추진한 청년 리빙랩이 소개됐다.

    외면 받고 있는 도심 내 유휴공간의 활성화를 꾀하거나 복잡한 시내버스 노선을 수요자 눈높이에서 재구성하는 것으로 생활 속 불편함을 스스로 해결하기 위한 시도들이 이어졌다.

    하지만, 이 같은 시도들이 자치단체 혹은 공모 사업으로 추진되면서 예산과 독립성 확보에 어려움이 제기되기도 했다.

    제주공동체 민복기 사무국장은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 중 하나는 행정의 개입으로 당초 계획이 변경되거나 축소되는 경우였다"고 밝혔고 또 다른 현장 활동가들 역시 예산 집행 및 결산과 평가 과정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런 가운데 전주대 박형웅 교수는 공감과 참여를 넘어 경제성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해 관심을 받기도 했다.

    "먹고 사는데 것과도 연결이 필요하다"는 것인데 박 교수는 스토리펀딩과 앱 개발 성공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성지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박사는 "문화 콘텐츠 분야에서도 리빙랩의 활용 범위가 이처럼 깊을 수 있다는 점이 매우 놀랍다"고 밝혔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는 리빙랩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강조되기도 했다.

    성지은 박사는 "지역혁신은 물론 사회적 경제와 문화 콘텐츠 등 다양한 리빙랩을 묶어나가는 일이 절실하다"고 밝혔고, 이승원 서울혁신파크 사회혁신리서치랩 소장은 "리빙랩을 묶어내지 못하면 다잉랩(Dying Lab)이 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김민수 동국대 교수는 대학과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한 도시재생의 효율성을 강조했고, 정수진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팀장은 개인 편의나 경제적 이익, 사회적 기여 등 현장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동기 부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