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朴, 대북 · 대일 메시지 '그래도 관계개선 위해 대화한다'



대통령실

    朴, 대북 · 대일 메시지 '그래도 관계개선 위해 대화한다'

    "아직 기회있으니 행동으로 보여달라"

    박근혜 대통령 (청와대 제공)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의 지뢰도발과 일본 아베 총리의 미흡한 전후 70주년 담화에도 불구하고, 광복 70주년 경축사에서 양국에 대한 관계 개선 의지를 표명했다. ‘아직 기회가 있으니 행동으로 보여 달라’는 것이 박대통령의 핵심 요구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광복 70주년 경축사를 발표하기 전에 두 가지 중대 변수가 있었다.

    먼저 북한은 비무장지대에서 지뢰 도발을 했고, 일본 아베 총리는 전후 70년 담화에서 애매한 ‘과거형 사죄’에 그쳤다.

    북한의 지뢰도발에 대한 정부 대응을 놓고 정치권 논란이 확산되고, 아베 총리의 전후 70년 담화가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박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 최종본을 확정하는데 전날인 14일 밤까지 고심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이런 두 가지 변수에도 경축사에 북한과 일본에 대한 관계 개선 의지를 철회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먼저 북한의 지뢰도발을 언급하며 “북한의 어떤 도발에도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도, 남북 화해협력, 더 나아가 한반도 통일 비전에 대해 훨씬 많은 말을 했다.

    박 대통령이 경축사에 언급한 키워드를 보면 ‘북한’이 21회, ‘통일’이 12회나 언급돼, '국민'(20회), '문화'(19회), '역사'(17회) 보다 많은 빈도수를 차지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이산가족 생사 확인을 위해 우리 측 6만 명 명단을 일괄 전달할 것이라고 제의하는 한편 비무장지대 평화공원 조성, 보건‧ 위생‧ 수자원‧ 산림관리 분야 등의 공동 협력을 촉구했다.

    박 대통령은 7.4 남북공동성명을 언급하며 “당시 남북 간 대립과 갈등의 골은 지금보다 훨씬 깊었고, 한반도의 긴장도 매우 높았지만 조금이라도 더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고자하는 의지가 있었기에 남북한은 용기를 내어 마주 앉았다”며 “지금도 북한에게는 기회가 주어져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북한은 민족 분단의 고통을 가중시키는 도발과 핵개발을 즉각 중단하고 군사적 긴장완화와 신뢰구축의 길로 나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일본 아베 총리의 담화에 대해서도 “우리로서는 아쉬운 부분이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침략과 식민지 지배가 아시아의 여러 나라 국민들에게 많은 손해와 고통을 준 점과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고통을 준 데 대한 사죄와 반성을 근간으로 한 역대 내각의 입장이 앞으로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국제사회에 분명하게 밝힌 점을 주목한다"는 것이 박 대통령의 발언이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일본 정부는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계승한다는 공언을 일관되고 성의 있는 행동으로 뒷받침하여, 이웃나라와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어야 할 것”이라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조속하고도 합당한 해결” 등 "동북아 평화를 나눌 수 있는 대열에 나올 것"을 요구했다.

    한마디로 위안부 피해자 문제 등 한일간 현안에서 행동으로 보여 달라는 요구이다.

    결국 박 대통령은 현 상황에서 북한이든 일본이든 관계를 악화시킬 요소를 강하게 부각시키지 않은 셈이다.

    그 대신 관계개선을 위한 출구를 현실적으로 열어두면서 북한 일본의 행동과 실천을 촉구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