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낙동강 자전거도로 지반붕괴…부실공사 공방



경남

    낙동강 자전거도로 지반붕괴…부실공사 공방

    시민들이 지반이 침하된 자전거도로 위를 위태롭게 달리고 있다.

     

    낙동강 하류쪽 자전거도로 곳곳의 지반이 무너져 붕괴 위험에 노출되면서 부실공사 논란이 일고 있다.

    24일 낙동강 7공구 구간인 경남 양산시 원동역-물금취수장 4-5Km 구간의 자전거도로는 지반 침하 현상이 곳곳에서 목격됐다.

    태풍 '산바'가 지나간 뒤 자전거도로를 받치고 있던 지반이 무너져 내리면서 일부 구간은 허공에 떠 있어 금새라도 무너질 듯 위태로워 보였다.

    토사는 물론 지반을 단단히 받쳐야 할 석축은 군데군데 유실된 채 방치돼 있고, 기초 시설물도 빠른 강물에 깎여 흉물스럽게 뼈대가 드러나 있다. 지난 6월 말 준공된 자전거 도로 바로 위로는 철길이 놓여져 있다.

    마을 주민은 "폭우로 자전거도로가 잠겼다"며 "지반 기초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는 매번 반복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기초 시설물도 빠른 강물에 깎여 흉물스럽게 뼈대가 드러나 있다.

     

    이곳에서 자전거를 타고 있던 김 모(45.부산 화명동) 씨는 "안내가 되어있지 않아 지반이 무너져 내린 사실도 모른 채 달려왔다"고 황당해했다.

    일행인 이 모(44. 부산 사상) 씨도 "지난 주말에는 자전거 매니아들이 꽤 많이 왔는데 아무런 조치도 없었다"며 "도로가 무너져 내리면 다 죽으라는 소리인지,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환경단체는 매년 이같은 현상이 반복될 수 있다며 "부실공사"라고 지적했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 임희자 사무국장은 "강과 철도 사이에 아주 최소한의 완충 지역을 자연 훼손을 하면서까지 도로를 건설했다"며 "식물군락이 훼손되지 않은 곳은 지반유실이 적거나 없었다"고 말했다.

    임 국장은 "도로 유실은 자연제방을 훼손하고 부실공사 때문으로 보인다"며 "이 곳은 자전거도로가 놓일 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당장 도로를 봉쇄하고 전 구간에 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부산지방국토청은 "폭우로 인해 도로가 침수되면서 일부 구간에 지반 침하가 생긴 것 같다"며 "부실공사와는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부산국토청은 "지반이 무너졌지만 콘크리트 하중으로 충분히 버틸 수 있기 때문에 통제는 하지 않았다"며 "추석 전까지 응급 복구를 한 다음,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 침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재시공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