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특례시의회 의장협, '권한 확보' 박차…공동 홍보 추진도

7차 정례회 용인시의회서 개최
연구용역 결과 정부·국회 촉구 총력

26일 용인시의회에서 열린 제7차 전국 특례시의회 의장협의회 회의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모습. 용인시의회 제공26일 용인시의회에서 열린 제7차 전국 특례시의회 의장협의회 회의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모습. 용인시의회 제공
내년 특례시 출범을 앞둔 인구 100만 명 이상의 수원·용인·고양·창원 4개 도시 시의회 의장들이 대도시 규모에 맞는 의회 권한을 확보하는 데 목소리를 높이기로 했다.

26일 전국 특례시의회 의장협의회는 용인시의회에서 7차 회의를 열고 최근 연구용역에서 도출한 특례시의회 권한 확보방안을 정부와 국회 등에 공동 촉구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회의 주요 안건은 특례시의회 공동 홍보 추진 계획과 특례시 및 특례시의회 권한 확보 대응 전략, 전국 특례시의회 의장협의회 운영 일정 등이다.

또 회의에서는 다음 회의부터 개최지 시민사회단체 등도 참여시켜 특례시의회 권한 확보의 중요성에 대한 시민들의 공감대를 넓히자는 의견도 거론됐다.

이날 회의에는 협의회 회장인 수원시의회 조석환 의장과 용인시의회 김기준 의장, 고양시의회 이길용 의장을 비롯해 창원시의회에서는 이치우 의장을 대신해 공창섭 부의장이 참석했다. 백군기 용인시장도 자리해 함께 의견을 나눴다.

앞서 협의회는 지난달 27일 '특례시의회 조직모형 및 권한 발굴' 연구용역에 대한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용역 결과에는 특례시의회 조직규모 진단과 적정성 분석, 입법·예산 정책지원 전문인력 강화 방안, 지역 특성별 특례시의회 기능 확대, 특례시의회 의정 권한 발굴 추진 로드맵 등이 담겼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 새롭게 도입될 정책지원 전문인력의 공무원 고용형태(임기제)와 사무국·위원회 배치 방법, 성과평가의 필요성 등도 제시됐다.

4개 도시 의장단과 실무진 등으로 구성된 협의회는 올해 1월 출범한 뒤 정기회의를 통해 특례시의회 권한 발굴과 정책 제시를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수원시의회 조석환 의장은 "여느 광역시 만큼 덩치가 큰 특례시 시민들이 행·의정서비스나 사회복지 혜택 등에서 더는 역차별을 받지 않도록 특례시의회 권한을 발굴하고 관철시키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용인시의회 김기준 의장도 "지방자치법 관계법령에 특례시와 특례시의회의 요구사항이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기관 등에 강력히 건의하고 반영이 안 될 경우 즉각적이고 강경한 대응을 하겠다"고 전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