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주민보다 공장 더 많은 사월마을…"주거환경 부적합" 결론



경제 일반

    주민보다 공장 더 많은 사월마을…"주거환경 부적합" 결론

    정부, 건강영향조사 결과 "주거환경 부적합…대책 마련해야" 결론
    중금속·몸 안 유해물질 등 다른 지역보다 높지만 기준치 이하
    미세먼지·소음·정신질환 감안하면 주거환경으로 적합하지 않아

    인천 사월마을 현황도 (사진=환경부 제공)

     

    거주가구의 3배가 넘는 공장이 지어져 주민들이 건강 문제를 호소했던 인천 사월마을에 대해 정부가 "주거환경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인천시 서구 오류왕길동 소재 사월마을 주민에 대한 건강영향조사를 마치고, 그 결과를 19일 오후 마을 내 왕길교회에서 주민설명회를 통해 공개했다.

    ◇122명 사는 마을에 공장 165개 집중…공장 중 절반은 유해물질 취급

    앞서 2017년 2월 사월마을 주민들은 마을에 매립지가 생긴 뒤 폐기물처리업체 등 공장이 난립했다며 건강영향조사를 청원했고, 환경보건위원회가 이를 받아들여 2017년 12월부터 올해 8월까지 조사가 진행됐다.

    총 52세대, 122명이 거주(6월 기준)하는 작은 마을인 사월마을에는 제조업체 122곳(73.9%), 도·소매 17곳(10.3%), 폐기물처리업체 16곳(9.7%) 등 무려 165여 개 공장이 운영 중이다.

    특히 공장 가운데 82곳은 망간과 철 등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 취급사업장이고, 마을 앞 수도권매립지 수송도로는 버스, 대형트럭 등이 하루 약 1만 3천대, 마을 내부도로는 승용차와 소형트럭이 하루 약 7백대가 지나다닌다.

    이에 대해 조사를 맡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진은 사월마을의 오염물질의 검출 결과가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주민들의 질환 발생이 유독 많이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주거환경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수준이라고 결론내렸다.

    인천 사월마을 현황도 (지도=환경부 제공)

     

    ◇"미세먼지·중금속, 다른 곳보다 많지만 기준치 넘지 않아"

    조사 결과 이 마을의 대기 중 미세먼지, 중금속 등은 인천의 다른 주거지역보다 높게 검출됐고, 마을 내 토양 및 주택 침적먼지에서도 중금속이 검출됐다.

    연구진이 지난해 겨울, 봄, 여름에 걸쳐 3일씩 대기 중 미세먼지(PM10)를 측정한 결과, 3개 지점의 평균 농도가 55.5㎍/㎥로 같은 날 인근에 있는 인천 서구 연희동(37.1㎍/㎥)보다 1.5배 높았다.

    또 대기 중 중금속의 주요 성분인 납(49.4ng/㎥), 망간(106.8ng/㎥), 니켈(13.9ng/㎥), 철(2,055.4ng/㎥) 농도 역시 인근 구월동, 연희동보다 2~5배 높았다.

    다만 연구진은 사월마을의 측정치 역시 국내는 물론 WHO(세계보건기구) 권고치를 초과하지는 않았다고 강조했다.

    사월마을의 대기오염을 낳은 배출원에 대해 수용모의계산(PMF 수용모델)을 벌인 결과 가장 미세먼지(PM10) 기여도가 높은 오염원은 순환골재처리장 등 건설폐기물 처리업(19.4%)이었고, 자동차(17.7%), 토양 관련 오염원(12.5%)이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주택(14곳)의 서까래, 문틀 등에서 채취한 침적먼지에서 알루미늄을 제외한 중금속 항목들이 지각의 원소 조성 농도보다 높게 검출됐다.

    또 마을 13개 지점 토양에서 비소(6.8~17.1㎎/㎏), 카드뮴(0.8~1.0㎎/㎏), 니켈(13.7~38.8㎎/㎏), 납(28.6~205.1㎎/㎏) 등이 검출됐지만, 이 경우에도 토양오염우려기준은 초과하지 않았다.

    ◇"생체 내 유해물질도 기준치 이내……암 발생비도 문제 없어"

    주민 건강조사 결과에서도 생체 내 유해물질(중금속, 방향족탄화수소류 등)은 일부 항목이 국민 평균보다 높았지만 참고치보다는 낮았고, 암 발생비 역시 타 지역보다 유의하게 높지 않았다.

    주민의 소변 중 카드뮴(0.76㎍/g-cr.), 수은(0.47㎍/g-cr.),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대사체(2-NAP, 3.80㎍/g-cr.) 및 혈액 중 납(1.82㎍/dL로)의 농도는 만 19세 이상 성인 국민 평균치보다 1.1~1.7배 높았다.

    하지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독일환경청 인체모니터링위원회의 권고치(요중 카드뮴 4㎍/g cr., 요중 수은 20㎍/g cr., 2-NAP)보다는 훨씬 낮았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카드뮴 고농도자(6명)에 대한 정밀검진에서도 신장질환, 골다공증 등 이상 소견이 없었고, 유해물질별 생체 농도 95분위 이상 대상자(28명) 건강검진도 특이소견이 없었다.

    2005년부터 2018년까지 주민 122명 중 15명이 폐암, 유방암 등을 앓아 이 가운데 8명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하지만 연구진은 발생된 암의 종류가 다양하고 전국대비 암 발생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미세먼지·소음·정신 문제 감안하면 주거환경 적절치 않아…대책 마련해야"

    다만 연구진은 △미세먼지 농도가 타지역 보다 높고 △주·야간 소음도가 높고 △우울증과 불안증의 호소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 등을 종합 고려해 "주거환경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

    실제로 마을 모든 주택(52개) 부지경계에서 이틀간 주‧야간 각 2회씩 소음을 측정한 결과 모든 지점에서 1회 이상 기준치(주간 55dB, 야간 45dB)를 초과했고, 특히 19개 지점은 주·야간 모두 기준을 초과했다.

    건강검진 참여자의 우울증 호소율은 24.4%, 불안증 호소율은 16.3%로 전국 대비*(우울증 5.6%, 불안증 5.7%) 각각 4.3배, 2.9배 높았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환경정의 지수’에 기반한 ‘주거환경 적합성평가'를 적용해도 전체 52세대 중 37세대(71%)가 3등급 이상으로, 주거환경으로 부적합해 개선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 유승도 환경건강연구부장은 “이번 조사는 환경으로부터 기인한 삶의 질 관점에서 주거환경 적합성 평가를 시도했다는 의미가 있다”라며, “인천시와 협의해 주민건강 조사 및 주거환경 개선 등 사후관리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