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운전 상황 판단해 말 거는 인공지능 차량 대화 서비스 개발



대전

    운전 상황 판단해 말 거는 인공지능 차량 대화 서비스 개발

    KAIST "운전자 주의분산 문제 해결"

    실차 데이터 수집장비와 실험 모습. (사진=KAIST 제공)

     

    차량용 인공지능이 운전자에게 언제 말을 걸어야 하는지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차량 대화형 서비스로 인한 운전자 주의분산 문제를 해결하면서 부적절한 시점에 운전자에게 대화를 시도하다가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 등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산업·시스템공학과 이의진 교수 연구팀이 차량 대화형 서비스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언제 운전자에게 말을 걸어야 하는지 자동 판단하는 인공지능 기술로 연구진은 차량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센서 데이터와 주변 환경 정보를 통합 분석했다.

    연구진은 말 걸기 적절한 시점 판단을 위해 현재 운전 상황의 안전도와 대화 서비스 수행의 성공률, 운전 중 대화 수행 중 운전자가 느끼는 주관적 어려움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인지 모델을 제시했다.

    개별 척도를 다양하게 조합해 인공지능 에이전트가 제공하는 대화형서비스의 유형에 따른 개입 시점의 판단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 핵심이다.

    예컨대 차량 흐름이 원활하거나 운전 상황이 안전하다고 판단하면 일기예보같이 단순한 정보를 전달하고 "그래", "아니" 같은 간단한 대답을 해야 하는 질문에는 현재 운전 상황의 안전도와 대화 서비스 수행의 성공률을 함께 고려하는 식이다.

    연구진은 자동 판단을 위해 대화형서비스 시스템과 차량을 연동해 운전대 조작, 브레이크 페달 조작 상태 등 차량 내 센서 데이터와 차간거리, 차량흐름 등 주변 환경 정보를 통합 수집했다.

    연구진은 모의 대화형서비스를 사용해 29명의 운전자가 실제 운전 중에 음성 에이전트와 수행한 1388회의 상호작용·센서 데이터를 구축했다. 이를 활용해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적절 시점 검출 정확도가 최대 87%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기술은 대화형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운전 부주의를 실시간으로 진단하고 중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의진 교수는 "앞으로 차량 서비스는 더욱 능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거듭나게 될 것"이라며 "차량에서 생성되는 기본 센서 데이터만을 활용해 최적 개입 시점을 정확히 찾을 수가 있어 안전한 대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차세대정보컴퓨팅기술개발사업과 현대NGV의 지원을 통해 수행했다.

    지난 9월 유비쿼터스 컴퓨팅 분야 국제 최우수 학회인 ACM 유비콤에 발표됐다. 김아욱 박사과정이 1저자로 참여하고 최우혁 박사과정, 삼성리서치 박정미 연구원, 현대자동차 김계윤 연구원이 공동 연구자로 참여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