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SKT·KT, 5G 상용화 초기 먹통 대폭 개선



IT/과학

    SKT·KT, 5G 상용화 초기 먹통 대폭 개선

    상용화 초기 화웨이 5G 기지국 성능 높아 LGU+, SKT·KT보다 속도 빨라
    8월말 화웨이-삼성 성능 차이 개선…현재는 통신사별 속도차이 미미

    자료=변재일 의원실 제공

     

    5G(5세대 이동통신) 상용화 초기에 삼성 기지국의 속도가 화웨이 기지국보다 떨어졌으나 개선 작업 결과 8월 말부터는 삼성과 화웨이 장비의 성능 차이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유로 5G 상용화 초기에는 화웨이 기지국을 사용하는 LG유플러스의 5G 통신속도가 삼성 기지국을 사용하는 SK텔레콤이나 KT보다 빨랐지만, 현재는 통신사별 속도 차이가 미미해졌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변재일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삼성-화웨이 5G 장비 성능 이슈 동향'을 보면 5G 상용화 초기에 화웨이 기지국을 사용하는 LGU+의 속도가 삼성 기지국을 사용하는 SKT, KT보다 약 20% 빠르게 측정됐다.

    5G 상용화 초기인 4~5월 사이에 삼성과 화웨이 기지국 장비의 속도를 측정한 결과, 퀄컴 모뎀칩을 사용하는 LG 'V50 ThinkQ'단말기가 화웨이 장비에 더 잘 작동해 약 1000Mbps 속도가 났다.

    반면 삼성 엑시노스 모뎀칩을 사용하는 삼성 '갤럭시 S10 5G'는 화웨이 기지국에서 약 900Mbps 속도로 측정됐고, 삼성 기지국에서의 속도는 약 700~800Mbps 수준이었다.

    이후 삼성은 기지국과 단말에 대한 SW업그레이드를 진행해 성능격차를 꾸준히 줄여왔고 그 결과 8월 말부터 화웨이, 삼성 기지국과 갤럭시 S10 5G, LG V50 ThinkQ 간의 속도는 공통적으로 약 1000Mbps로 확인됐다. 현재는 삼성과 화웨이 간 기지국 장비 성능 격차가 없는 것이다.

    변재일 의원은 "5G 전‧후방 산업의 주도권을 갖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이 칩부터 단말, 장비까지 개발한 것은 쾌거"라며 "기존 5G 장비, 단말의 품질 향상과 더불어 앞으로 구축될 28GHz 대역의 장비는 세계 최고 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국내 통신장비 사업자, 중계기 제조사 등 5G 후방산업 관련 사업자들이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